거의 모든 시간의 역사 - 시곗바늘 위를 걷는 유쾌한 지적 탐험
사이먼 가필드 지음, 남기철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거의 모든 시간의 역사 

시곗바늘 위를 걷는 유쾌한 지적 탐험

사이먼 가필드






하루에 시계를 보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예전에는 손목시계로 시간을 확인 했다면 지금은 손에서 떼지 않는 스마트폰을 통해서 시간을 알고 있다. 이렇게 시간은 인간이 존재하면서 뗄 수 없는 관계 일 것이다. 인간은 시간을 알기 위해 많은 기계들을 발명했고 시간을 통해서 철학과 과학, 종교까지 많은 것들을 만들어냈다. 

우주가 생기면서 시간이 만들어졌고 우주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시간도 존재하지 않았다고 한다. 지구의 많은 사람들이 그렇겠지만 특히 한국 사람들은 시간에 더욱 인색한것 같다. 여유를 즐기기 보다는 더 빡빡한 삶을 사는 것 같다. 영국이 좋아하는 작가라서 그런지 위트 있는 내용들이 많았던 것 같다. 

특히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과 기차와 시간에 대한 이야기가 흥미 있게 다가 왔다. 지구 전체가 하나의 시간을 공유 하게 될 때 까지는 정말 많은 시간이 걸린 듯 하다. 지금이야 공장에서 시계를 만들어낸다지만 예전에 시계공들은 아주 오랜시간 동안 공을 들여서 시계를 만들었고, 지금도 수제작된 시계들은 엄청나게 비싸기도 하다. 

시간은 각 시대에 따라서 빠르기도 하고 느리게도 느껴지는 것 같다. 예를 들면 20년 전의 영화의 러닝타임은 1시간 정도거나 길어도 1시간 30분 정도였다. 그래서 영화관에서 영화를 더 많이 상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재미있는 영화라면 러닝타임이 2시간 정도 되고 과거보다 두배 정도 늘어난 시간 때문에 영화관에서는 한 영화를 예전보다는 여러번 상영할 수 없다고 한다. 시간이란 상대적으로 늘어나는 것 같다. 먼 미래에는 영화 시간이 다시 줄어들지도 모르는 일이다. 

모든 순간이 겹겹이 쌓이면서 시간이 되고 그 시간들이 모여서 역사가 된다. 인간이 만들어낸 시간과 역사가 미래에는 어떤 모습으로 다가올지 궁금해진다. 시간의 역사를 알게 되면서 사이먼 가필드라는 작가의 책을 몇 권 더 보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