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움받아도 괜찮아 - 어린이를 위한 용기의 심리학
황재연 지음, 김완진 그림, 박예진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움받아도 괜찮아

어린이를 위한 용기의 심리학

황재연




한때 미움받을 용기라는 심리학책이 엄청난 유행을 했었다.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한 책이었다. 남들의 눈에 모든 것이 딱 맞지 않아도 된다는 개인심리학은 나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나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용기가 중요하다. 거절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은 많은 친구가 있을지는 몰라도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모르게 된다. 


특히 아이들은 부모가 세계의 전부이기 때문에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하는게 아니라 부모가 원하는 것을 따라가게 할 수도 있다. 주인공인 예서는 피아니스트가 꿈이라고 한다. 그러나 곰곰히 생각해보면 피아노를 치고 상을 타는 자신의 모습을 부모님이 좋아했기 때문에 꿈을 피아니스트로 정한 것일 수도 있다. 예서의 할아버지는 예서의 자존감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어린이가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고 있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용기를 심어주기에도 충분하다. 


사람들은 보통 내가 가지고 있지 않은 것에 집중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불행하다는 생각이 들면 그 원일을 '없는 탓'으로 돌리기도 한다. 내가 돈이 없기 때문에, 명예가 없기 때문에,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내가 없는 것에 중점을 주는 것이 아니라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활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람에게는 인정을 받고 싶은 욕구가 있다. 이것을 미운 오리 새끼 동화를 통해서 설명을 해주고 있다. 미운 오리 새끼는 오리 가족에게 미움을 받고 있다가 그의 겉모습이 변하면서 인정을 받게 된다.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 의하면 무조건적인 칭찬은 오히려 안좋게 적용 될 수도 있다. 칭찬을 받기 위해 , 관심을 끌기 위해 일을 그르칠 수도 있는 것이다. 칭찬이 아니라 공헌을 해야 스스로 가치를 느낄 수 있다. 


미움받을 용기 이전에 평범해질 용기가 필요하다. 내게 주어진 오늘 하루를 담담하고 충실하게 사는 것이 평범해질 용기이다. 하루하루를 충실하게 살아간다는 것은 쉽지 않다. 평범한 오늘 하루가 모여서 미래가 되는 것이다. 용기를 가지면 우리는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고 아들러가 이야기 했다. 아들러의 심리학은 용기의 심리학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나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남과 비교하면서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가 없다. 먼저 즐겁게 남을 도우면서 내 인생의 주인공이 되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