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으로 산다는 것 - 조선의 리더십에서 국가경영의 답을 찾다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왕으로 산다는 것

조선의 리더십에서 국가경영의 답을 찾다
신병주



조선의 왕들을 살펴보면 자신이 생각하던대로 정치를 편 왕도 있고 
그와는 다르게 수렴청정이나 붕당정치로 인해 제대로 기를 못 편 왕도 있다. 
비선실세로 얼룩진 오늘날의 정치와 크게 다를바 없는 일이 조선시대에도 있었던 것이다.  


역사를 통해서 우리는 과거에 잘못되었던 일을 바로 잡아야 하는데 
오히려 과거보다 못한 일들만 벌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왕으로 산다는 것'이 요즘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보이는 듯 하다. 


역사는 현재를 비추는 거울이라고 한다. 왕조 시대가 끝나고 국민이 주인이 되는 민주사회가 도래했다고는 하지만, 적절한 정책의 추진, 여론의 존중, 도덕과 청렴성, 소통과 포용의 리더십, 언론의 존중 등 전통사회 왕들에게 요구되었던 덕목들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판단된다.

조선의 역사에는 반정이 두번이 있었다. 중종반정과 인조반정인데 인조는 직접 반정 세력을 규합하고 반정에 참여를 했다. 그는 왕의 이름을 받지 못한 광해군을 직접 내려오게 만들었다. 
광해군이 주변의 적통세력들을 처단하면서 인조가 그런 마음을 먹었을 지도 모른다. 
오히려 가까운 사람에게 더 잘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일 수도 있다.  


조선의 태조부터 조선의 마지막 왕인 영친왕, 덕혜옹주까지 
우리를 여태까지 있게 해주었던 그들의 과거를 빠짐 없이 볼 수 있었다. 
이 중에서도 현재에도 배울 리더십들을 놓치지 않고 미래의 리더들이 꼭 알아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