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팔사략 - 쉽게 읽는 중국사 입문서 현대지성 클래식 3
증선지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십팔사략

쉽게 읽는 중국사 입문서

증선지 저 / 소준섭 역

 

 

요즘 중국이 신흥강국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누구나 아실거에요~

예전에는 제2외국어가 일본어였다면 요즘은 중국어를 배우는 사람이 눈에 띄게 많아졌다는 것을 느끼고 있어요~

중국이 미국처럼 커질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구요. 이럴 때 일수록 그 나라의 역사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중국역사를 쉽게 읽을 수 있는 <십팔사략> 이라는 책을 보게 되었어요!


십팔사략은 중국 고대시대부터 송나라가 멸망할 때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역사서인데요.

지은이는 송나라 말기 때의 증선지라는 사람이에요. 송나라는 몽골에 의해 멸망하게 되었는데,

증선지는 은둔한 상태로 십팔사략을 집필했다고 합니다.

자신의 나라를 위해 이런 역사서를 집필했다는 것이 애국심이 얼마나 대단한지 보여주는 것 같아요~

 


십팔사략은 총 18가지의 책을 요약하였다라는 뜻에서 '십팔사략' 이라고 제목을 지었다고 해요.

십팔사략의 18종의 책 목록은 사마천의 사기, 반고의 한서, 범엽의 후한서, 진수의 삼국지, 방현령의 진서, 심약의 송서, 소자현의 남제서, 요사렴의 양서, 요사렴의 진서, 위수의 후위서, 이백약의 북제서, 영호덕분의 후주서, 위징의 수서, 이연수의 남사, 이연수의 북사, 구양수의 당서, 구양수의 오대사, 탁극탁의 송사가 총 망라되어 있는 책이에요~

내용이 많다 보니 책의 목차만도 무려 10페이지에 달합니다. 십팔사략은 내용이 방대해서 우리나라에 많이 소개되지 않았다고 해요.

그전의 책들은 원문을 직역하는 수준이라서 읽기 어려웠는데 이번에 현대지성 출판사에서 나온 십팔사략은

일반독자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요~

 

중국의 선사시대 때부터 내용이 시작되는데요. 중국의 고대사를 알고 있다면 한번 쯤은 들어봤을 법한 복희씨와 염제 신농씨의 이야기부터 쭉 시작이 됩니다. 우리나라의 환웅과 비슷한 존재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중국에서 제일 가던 시대인 요순임금이 지배를 하던 시대의 내용도 나와서 중국사 입문서로 제격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각 챕터가 끝날 때마다 왕조의 계보가 나와서 중국 역사를 이해하는 데에 더 쉬웠답니다~

소설책이나 만화책에서도 소재로 많이 쓰이는 강태공의 이야기도 나와 있어요.

바로 봉신연의라는 중국 문학 소설의 배경이 되는 은나라와 주나라의 이야기도 볼 수 있었답니다.

십팔사략과 함께 봉신연의를 봐도 재미있을 것 같아요!

 

초나라 한우와 한나라 유방의 긴 대립을 보여주는 초한지도 십팔사략안에 들어가있답니다.

십팔사략 안에 중국의 유명한 소설과 역사서는 다 들어가 있는 것 같아요!!!

중국역사를 쉽게 알려면 십팔사략 한 권만 읽어도 될 것 같아요~

유비, 관우, 장비가 나오는 삼국지의 내용도 물론 들어가 있답니다. 삼국지 전후로 위, 촉, 오 나라가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 있다는 사실이 더욱 재밌어요!!

 

학생때 교과서에서 공부하던 남북조시대도 지도로 그려지면서 자세히 볼 수 있어요~

역사를 공부하기 싫어하는 학생들도 십팔사략을 보면서 중국역사를 공부하면 정말 좋을 것 같아요~~


몽골인으로서 중국 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한 칭기즈칸의 이야기도 볼 수 있었습니다. 이 때 송나라도 멸망의 길에 접어들고 있는데요.

이 때의 송나라와 고려, 조선의 관계를 생각하면서 본다면 십팔사략이 더욱 흥미롭게 느껴질 것 같아요~

책의 뒷부분에는 중국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역사 연표가 있습니다.

기원전 몇 년도에 일어난 일인지도 나와 있으니까 중국역사에 대해 한 번 더 이해 할 수 있었어요~

 

중국의 다양한 나라를 보면서 그 때의 왕들이 어떻게 정치를 해서 나라의 흥망성쇄를 결정했는지를 보니까

고전리더십에 대해서도 알 수 있는 좋은 책이었어요!


중국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중국어 공부와 함께 중국사 입문서인 <십팔사략>을 꼭 같이 읽어 보셨으면 좋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