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녀에게서 온 편지 : 멘눌라라 ㅣ 퓨처클래식 1
시모네타 아녤로 혼비 지음, 윤병언 옮김 / 자음과모음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이책은 검은 색 표지에 여자의 뒷모습이 보이고,
붉은 색 글씨로 마녀에게서 온 편지 멘눌라라라고 씌여있다.
검은 색을 좋아하는 나에게는 너무나도 매력적인 표지여서 꼭 읽어 보고 싶게 만드는 책이었다.
멘눌라라의 저자인 시모네타 아넬로 혼비는 이탈리아의 작가로서 원래는 변호사로 일을 했다고 한다.
이탈리아의 시칠리아에서 태어나서 그런지 이 작품의 배경도 시칠리아이다.
시칠리아는 이름만 들어보고 어떤 곳인지 직접 가본적이 없어서
그 곳이 어떤 곳인지 알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살짝 있었다.
이 이야기는 1960년대에 벌어진 일로 본명인 로살리아보다 멘눌라라라고 부르는 여자 가정부가 죽고 나서 벌어지는 이야기 이다.
여기서 멘눌라라의 뜻은 '아몬드를 줍는 여자'라는 뜻이라고 한다.
멘눌라라는 알펠리페 가문에서 어릴때부터 가정부로 지내게 됐는데
다른 사람에게는 너무 괴팍하게 굴어서 그녀를 싫어하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게 되었다.
병인지 자살인지 모호하게 사망한 그녀는 알펠리페가의 사람들에게 유언장을 남기는데
자신이 하라는 대로 신문에 부고를 올려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 당시에 가정부의 부고를 신문에 싣는 다는 것은 엄청나게 파격적인 일이라고 사람들은 말한다.
결국 알펠리페가 사람들은 멘눌라라의 부고를 자기들 맘대로 벽보로 붙여버린다.
그 이후 죽은 멘눌라라에게서 편지가 오기 시작한다.
이 책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나오는데 그들은 가지각색으로 멘눌라라에 대해서 말을 한다.
멘눌라라는 착하다, 말을 괴팍하게 한다, 계산은 철저했다, 몰래 숨겨놓은 돈이 많다 등등...
이 책을 읽으면서 멘눌라라는 대체 어떤 여자이길래 이렇게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것인지 궁금했다.
그러나 책을 읽고 멘눌라라의 과거가 밝혀지면서 그녀는 마녀가 아니라 불쌍한 한 여자일 뿐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타고난 신분으로 인해 명석한 머리를 가지고도 그저 가정부로 밖에 일할 수 없었고,
예쁜 외모였지만 힘든 일을 하면서 점점 볼품없어 질 수 밖에 없었던 멘눌라라....
노래를 부르는 것을 좋아했지만, 노래를 부르지 못하게 된 멘누...
그녀가 악착같아 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가 있었고,
그녀는 자신을 위해, 그리고 알펠리페 가문의 사람들을 위해 무던히도 노력을 했던 여자였다.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있지만 결혼도 할 수 없고 그저 일만 하며 살아야 했던 인생...
주위 사람들에게 알릴 수도 없고 속도 내비칠 수 없었던 그녀...
이 책의 멘눌라라는 아픔과 사랑으로 얼룩진 인생을 살았던 한 여자일 뿐이었다.
누구라도 한번 깊게 이야기를 나눌 친구가 있었으면 멘눌라라도 그렇게까지 평판이 안좋아지지 않았을텐데...
멘누가 겪었던 아픔... 지금 시대의 여성들과 크게 다를 바는 없어보인다.
지금도 세계 어딘가에서는 멘누 처럼 살다가는 여자들이 많을 것이다.
작가는 그걸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멘눌라라는 자신의 영역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건 여자였다.
자신의 영역이 침해당하는 꼴을 그냥 지켜보고 있을 여자가 아니었다.
-195p
이모는 자기 언행이 남의 눈에는 상스럽게 보인다는 걸 잘 알고 있었어요.
사람들이 놀릴까 봐 두려웠던 거에요.
그래서 사람들하고 어울리는 대신 대청소를 하거나 요리를 하면서
집 안에만 남아있기로 작정했던 겁니다.
-254p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한 멘누의 반감은 바로 거기서 시작됩니다.
그건 사회와 경제체제에 대한 반감이에요. 한편에는 땀 한방울 흘리지 않고 돈과 권력을 유산으로
물려받은 상류층 사람들이 있는 반면
또 한편에는 가난하게 태어나 공부할 기회조차 없는 하층민들이 있습니다.
멘누가 혐오했던 건 바로 그거에요.
- 321p
아무래도 이탈리아의 이름이다 보니
이름이 비슷한 사람들이 많아서 많이 헷갈렸었다.
이 책의 마지막 페이지에는 등장인물이 모두 나와 있는데
책을 읽으면서 누군지 모를 때 보면 정말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