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스트 Axt 2015.7.8 - 창간호 악스트 Axt
악스트 편집부 엮음 / 은행나무 / 2015년 7월
평점 :
품절


악스트를 통해 문예지를 처음 접해봤다. 일반 패션 잡지는 여성잡지는 사서 봤었는데 문예지라는 장르의 잡지가 있었는지도 몰랐던 나에게 악스트는 신선한 충격이었다. 외국 소설과 번역본들이 쏟아지고 있는 출판계에서 우리나라 소설이라고 해봤짜 티비에 드라마화 된 작품이라거나 영화화 되는 문학 소설만 있을 거라고 짐작만 해봤을 뿐...

한국 고전 소설을 제외하고 요즘 시대에 문학 소설을 쓰는 작가가 몇이나 될 지 생각 해본 적이 없는 것은 사실이다.

악스트는 다양한 한국 소설을 소설가가 직접 리뷰하는 코너와 함께 단편 소설, 장연 연재 소설까지 한 곳에 담아내고 있다.

예술과 텍스트의 조합인 악스트(독일말로 도끼를 뜻한다고 한다)의 제목 답게 인터뷰 사진도 왠지 예술적인 감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표지를 장식한 천명관 소설가의 너무나도 솔직해 큰일이 일어난 것 같은 인터뷰도 꼼꼼히 읽어보았고, 그 인터뷰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문학계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도 조금은 알게 되었다.

악스트에 실린 여러개의 단편소설과 장편 연재 소설을 읽으며 이것이 '한글로 씌여진 한국 문학의 참맛이구나'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예로 들면 유명한 외국 작가가 쓴 소설을 번역본을 읽으면 쉽게 잘 읽히는 글이 많은 것 같은데 아무래도 번역가의 한계(?) 일수도 있겠고 영어를 한국어로 옮기면서 단순화 시킬 수 밖에 없는 이유도 있을 것이고...

그러나 우리나라의 작가가 쓰는 문학소설은 작가의 단어 선택 하나하나 깊은 의미가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다. 집에 있는 책을 쭉 둘러봐도 한국 소설은 찾아보기가 힘든데 지금부터라도 악스트에 실려있는 리뷰에 나온 소설을 먼저 찾아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