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냉전 시대
제이슨 솅커 지음, 김문주 옮김 / 더페이지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냉전은 과거형이 아니다

냉전은 내게 20세기 역사 교과서의 한 페이지였고 소련과 미국의 체제 경쟁으로만 기억하고 있었다. 그런데 지금이 또 냉전 시대라니 선뜻 와닿지 않았다. 그런데 책장을 넘기면서 내가 알고 있던 세계는 더 이상 평화로운 일방통행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다툼, 러시아와 유럽의 군사적 긴장, 기술과 자원을 둘러싼 전선까지, 뉴스 속 이야기로 넘기던 사건들이 실은 커다란 지각 변동의 한 조각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냉전은 과거형이 아니었다. 지금 더 복잡하고 치밀한 형태로 다시 시작되고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던 부분은 한반도의 위치에 대한 내용이었다. 솔직히 나는 우리나라가 그저 미중 사이에서 눈치 보며 줄타기하는 정도로만 생각해왔다. 그런데 저자는 한반도도 제2차 냉전의 중앙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 북한은 이미 러시아, 중국과 밀착했고 우리는 미국과 군사적 공조를 강화하는 중이다. 무심하게 지나쳤던 우리의 위치가 얼마나 위태로운 균형 위에 있는지 이제야 실감이 났다.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

나는 일상에서 경제 뉴스 따로 정치 뉴스 따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환율, 무역, 반도체 수급 같은 이슈들이 국제 정세와 직접적으로 연결돼 있다는 걸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특히 반도체 패권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경쟁 속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위치는 생각보다 훨씬 복잡하고 민감하다. 단순히 기술이나 산업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외교 전략과 안보, 국민의 삶과도 맞닿아 있다. 저자는 그런 연결고리를 차근히 설명해주고 있다. 평화롭고 모두가 연결된 글로벌 시대인 줄만 알았던 나의 세계관은 이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코로나19 이후 각국은 점점 문을 걸어 잠그기 시작했고 우크라이나 전쟁은 평화가 얼마나 덧없는지를 보여주었다. 지금은 글로벌화가 아닌 블록화된 세계 속에서 살고 있다.

이제 모른척 할 수 없다

현재 트럼프는 중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 대해 높은 관세를 부과하며 글로벌 무역 전쟁을 벌이고 있다. 이런 상황은 글로벌 공급망에 큰 혼란을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애플과 같은 기업들은 생산 거점을 중국에서 인도로 이전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런 관세 전쟁은 경제적 갈등을 넘어 국가 간 기술 패권과 안보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제2차 냉전시대'는 복잡한 시대를 뚫고 나아가기 위한 이성과 직관의 나침반이 될 책이다. 현재 국제 정세를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하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