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가 바라본 세상 - 인간과 세상의 심연을 파헤친 프로이트의 아포리즘 세계적인 명사들이 바라본 세상
지크문트 프로이트 지음, 석필 옮김 / 창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마음속 숨겨진 비밀을 마주하다

사실 심리학은 사람의 마음을 딱딱하고 어렵게 해주는 학문이라고 생각했다. 근데 이 책은 전혀 다른 세계를 보여줬다. 마치 내 마음속 깊은 구석을 프로이트가 들여다보는 것 같았다. 요즘 반복되는 직장 스트레스에 찌들어 있던 나에게 치유의 손길을 건넨 것 같다.

무의식,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같은 어려운 말들 떄문에 처음에는 머리가 아팠지만 읽다보니 프로이트가 말한 것들이 내 모습이구나 싶었다. 그동안 이유를 몰랐던 나의 불안과 갈등들을 이제는 조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꿈이라는 비밀스러운 무대

책을 읽으면서 '승화'라는 개념을 처음 배웠는데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무조건 참는것이 아니라 그 에너지를 창의적으로 승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아무래도 꿈에 대한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는데 그동안 이상하다고 여겼던 내 꿈들이 사실은 숨겨진 욕망의 무대였다는 것에 놀랐다. 밤마다 꾸던 말도 안되는 그 꿈들이 이제는 조금은 이해가 되는 것 같다.

정신분석학, 미지의 그 곳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마치 인간 내면의 미지의 대륙을 탐험하는 것 과 같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무의식의 영역을 들여다보는 프로이트의 이론은 우리가 스스로를 얼마나 모르고 있는지 깨닫게 해준다. 무의식은 마치 빙산의 수면 아래 숨겨진 거대한 덩어리와 같다. 우리가 의식적으로 인지하는 부분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심리적 동기와 행동은 무의식의 깊은 곳에서 비롯된다는 프로이트의 주장은 혁명적이었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우리가 불안과 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한다고 주장했다. 억압, 투사, 대체, 합리화 같은 메커니즘들이 우리의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가 종종 스트레스 상황에서 업무를 회피하거나 타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행동도 이런 방어기제의 일종임을 알게 되었다.

한계와 가능성

'우리의 행복은 생물학적 한계, 외부 환경, 타인과의 관계에 의해 제약받는다.' 프로이트의 이 말은 우리의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그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단순한 심리학 이론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을 이해하고 우리의 숨겨진 잠재력을 발견하게 도와준다. '우리는 결코 아이로만 남을 수 없으며 언젠가는 혹독한 삶 속으로 나아가야 한다.' 프로이트의 이 한마디로 어른으로서 한 걸음을 이제야 내딛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