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행복론 - 97세 경제학 교수가 물질의 시대에 던지는 질문
리처드 이스털린 지음, 안세민 옮김 / 윌북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적행복론

97세 경제학 교수가 물질의 시대에 던지는 질문

"얼마나 부자가 되어야 행복할까?"

행복하기 위해서 사는 걸까? 살기 위해 행복해야 하는 걸까? 행복은 보이지 않는 것이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지적행복론>에서는 세계적 경제학자의 말로 전하는 지적이고도 따뜻하게 행복에 대한 이야기를 알 수 있다. 돈이 많으면 많을 수록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 기본 욕구가 충족되면 소득이 증가해도 행복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는 '이스털린의 역설'은 한번 쯤 들어봤을 것이다. 전통적인 경제학에서는 소득 증가는 행복을 증진시킨다는 것이었지만 <지적 행복론>의 리처드 이스털린은 그것을 반박했던 것이다.

소득은 물론 행복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내가 얼마나 버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남보다' 많이 버느냐가 나의 행복을 결정한다고 한다. 한 사고 실험을 보면 남과의 비교가 행복에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 수 있다. 만약 졸업하고 나는 10만달러 벌기, 동기는 20만 달러 벌기 vs 졸업하고 5만달러 벌기, 동기 2만 5천 달러벌기를 밸런스 게임으로 한다고 했을 때 학생의 3분의 2는 동기보다 돈을 더 버는 것을 선택한다고 한다.

좋은 삶을 산다고 했을 때 가지고 있는 것과 가지고 싶은 것이 있을 텐데 가지고 있는 것이 늘어날 수록 가지고 싶은 것도 늘어난다고 한다.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는 것이 맞는 것 같다.

평생 동안 행복은 파도같은 패턴을 보이는데 10대, 30대 후반, 70대에 최고조를 보이지만, 20대, 50대, 80대 이후에는 바닥으로 떨어진다고한다.

20대에는 직장 때문에 생기는데 경력의 첫 번째 단계에 진입하면서 스트레스와 불안이 커진다고 한다. 60대에는 은퇴를 하면서 행복해지지만 70세 이상부터는 건강이 악화되고 배우자의 사망으로 외로워지는 노인이 많아지면서 행복이 하락세로 들어간다. 리처드 이스털린은 산업혁명과 인구혁명 이후로 행복혁명이 나타날것이라고 한다. 산업혁명과 인구혁명은 자연과학과 생명과학이 등장하면서 일어났다. 행복혁명은 사회과학으로 알 수 있는 것이다. 행복에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자유경제체제가 과연 국민의 행복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