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에너지 제국의 미래 - 에너지 전쟁의 흐름과 전망으로 읽은 미래 경제 패권 시나리오, 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양수영.최지웅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50 에너지 제국의 미래

에너지 전쟁의 흐름과 전망으로 읽은 미래 경제 패권 시나리오

이제 인간은 에너지가 없이는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없는 처지가 되었다. 그 중에서 석유는 20세기 이후에 지구를 지배할 정도로 없어서는 안되는 에너지원이 되었다. 코로나가 창궐 하면서 석유가격이 한때 지하를 뚫기도 했었지만 지금은 몇 십년만의 인플레이션으로 석유 가격이 치솟고 있다. 책에 따르면 2019년 세계 석유 소비량은 1억 배럴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러나 무분별한 석유 사용으로 기후변화 또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경제학에서 가장 오래된 고민 중 하나는 인간의 욕망은 무한한테 자원은 유한하다는 것이라고 한다. 무한한 인간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서 석유를 통한 에너지로 어마어마한 생산을 했다. 화석연료 기반의 대량생산은 인간의 수명, 건강, 행복, 인권 등을 개선 시킬 수 있었다. 한국에서는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석탄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석탄은 화석연료 중에서 탄소 배출이 가장 많다. 한국은 제조업을 위주로 경제가 돌아가기 때문에 석탄을 이용한 철강 산업과 자동차 산업에도 많은 의존을 하고 있다.

한때 지구에는 석유 매장량이 50년 정도 남았다고 들은 적이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 셰일 오일을 개발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석유가 늘었지만 환경 때문에 석유 사용을 줄이고 있다. 한국은 석유가 한 방울도 나지 않는 나라이기 때문에 친환경 에너지가 더욱 중요해졌다. 유럽에서는 많은 양의 친환경 에너지를 발전하고 사용하고 있다.

<2050 에너지 제국의 미래>에서는 지정학적 스토리와 함께 석유에너지, 친환경에너지가 어떻게 변할지에 대해서 미래를 예측해보고 있다. 태양광, 풍력, 수력과 함께 수소도 친환경 에너지로 다루고 있다. 한국은 석유화학 산업도 유망하기 때문에 세계 5위의 원유 수입국으로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토가 작기 때문에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기도 하다.

중국은 에너지를 해외에서 모두 수입하면서 엄청나게 소비를 하고 있는 경제대국이다. 특히 중국은 에너지 분야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일대일로를 만들면서 해외 자원 확보를 위해 많은 자금을 투입하기도 했다. 그러나 중국은 탄소를 어마어마하게 배출하고 있는 나라이다. 인구는 물론 경제 규모도 크기 때문에 미국의 두 배에 달하는 탄소를 배출하고 있다고 한다. <2050 에너지 제국의 미래>를 보고 세계의 에너지 패권이 어디로 향할 것인지 그 방향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