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대한 전환 대한민국 산업미래전략 2030 - 한국산업구조 전환의 마스터플랜과 G5 메가프로젝트 제시
한국공학한림원.산업미래전략위원회 지음 / 잇플ITPLE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 팬데믹 이후 지구에서의 산업 변화는 급속히 빨라지고 있다. 특히 탄소중립과 그린 에너지로 나아가려는 산업의 전환이 강하다. 제조 강국인 대한민국은 이런 탄소중립에 취약한 편이다. 구조적으로 저성장한 중후장대 산업과 제조업 특성상 성장에 사이클이 존재하기도 한다. 한국공학한림원은 공학과 기술의 발전을 발굴하는 곳으로 우수한 공학인을 발굴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라고 한다.

담대한 전환에서는 SWOT에 기반하여 산업 포트폴리오 전략과 산업구조 전환 모형등을 보여주면서 앞으로 한국 산업이 무엇을 실행해야 하는지 알려주고 있다. 물론 미래 뿐만 아니라 과거에 어떻게 한국의 산업이 변화했는지도 알수 있는 책이다. 한국 27개의 산업 섹터가 어떻게 전환했는지 보는 것도 많은 공부가 되었다.

흔히 가치주라고 하는 철강, 정유, 음식료는 저성장주로 꼽히고, 성장주라고 알려져있는 소프트웨어, 서비스, 반도체, 항공우주 섹터에 대해서도 공부할 수 있다.

한국공학한림원은 MetaNet이라는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있다. 요즘 주식시장을 핫하게 달구고 있는 메타버스와 네트워크의 합성어로 메타넷은 메타버스를 글로벌 스케일에서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말한다고 한다. 메타텟은 초고밀도 실시간 분산 컴퓨팅 접송망으로 글로벌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는 망이다. 메타넷은 현실과 가상세계를 이어주고 다자간 비대면 화상회의 플랫폼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ETS 메가프로젝트는 에너지환경 신산업 육성을 위한 ETS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안보성, 변동재생에너지, 탄력성, 친환경성을 담보하면서 에너지 신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한다. 무려 11개의 세부 프로젝트의 내용을 알려주고 있다. 전고체 리튬 이차전지를 개발, 고에너지밀도 금속공기 이차전지 기술, 수소 에너지저장시스템 모듈기술,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 분산형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차세대 원전, 태양광/풍력 소부장 개발 및 제조혁신 플랫폼 구축, 섹터 커플링 에너지시스템 개발 등이 있다.

테슬라가 전기차를 상용화 하면서 자동차산업이 다시 각광을 받고 있다. 미래 모빌리티 시장은 현재의 자동차 기업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업들도 뛰어들고 있는 섹터이다. 자율주행과 함께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도 중요해지고 있다. 5개의 모빌리티 모드는 e-고속버스, e-수송트럭, e-수직이착륙기, e-선박, e-드론 프로젝트가 있다. 이런 프로젝트들은 미래의 운송수단을 획기적으로 변화 시킬 수 있다. 앞으로의 한국 산업이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