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줄리언 반스의 아주 사적인 미술 산책
줄리언 반스 지음, 공진호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그동안 미술관련 서적 쫌 읽어왔다. 미술관에 그림 감상도 하러 다녔다.
미술에세이라고 해서 반기며 책을 받았다.
단, 줄리언 반스가 쓴 책이라해서 살짝 걸리긴 했다.
왜냐하면 그의 소설 두 권을 읽었는데 그리 감동 받은 건 아녔기 때문이다.<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는 두 번 읽고도 빨간책방 가서 이동진이랑 김중혁의 해설을 들어야 했고, <연애의 기억>을 읽고는 좀 실망스러웠기 때문이다.
여윽시!!
이 냥반이 이번에도 나를 골리는구나!!
책 <줄리언 반스의 아주 사적인 미술산책>이야기다. 이 책에서 그는 자신의 교양과 지식과 문학적 실력을 한껏 뽐내주신다. 웬만해선 감히 범접할 수 없다! 그의 발뒤꿈치 때만큼도...
그동안 그림 쫌 봤네~ 하던 나를 아주아주 작아지게 만들었다.
이 책에 실린 17명의 화가에 대한 글들은 작가가 1989년에서 2013년까지 25년간 쓰고 기고해온 에세이들 중에 고르고 고른 것이라 한다.
일단 책에서 다룬 17명의 화가들 중 아는 이는 9명뿐! 나머지는 그나마 이름이라도 들어본 적~~~이? 없고, 다 첨 만나는 화가였다. 목차에서 화가들의 이름을 주욱 훑어 본 순간 이미 의욕은 방바닥 아래로 푸욱 꺼지고 ...
그래~~서!
아는 화가들부터 읽기 시작!!
하...
그동안 내가 안다고 생각했던건, 이름만 아는 거였어! 내용을 읽어보니 죄다 첨 듣는 말!! 어떻게 이렇지? 이제 어디가서 미술관 가는거 좋아한단 이딴 말은 절대 안 해야겠다!
그나마 꽤 유명한 세잔이나 마네의 경우도 일화든 그림에 대한 이야기든 모두 생소한 내용이었다. 작가가 미술에 대해 가지고 있는 해박한 지식, 아주아주 꼼꼼한 자료조사를 바탕으로 썼음을 알 수 있다. '귀스타브 쿠르베'같은 경우, 내가 아는거라곤 잘생겼다는것 뿐, 아는 그림도 "안녕하세요, 쿠르베씨" 달랑 하나뿐이었다!는 걸 확인했다.ㅠㅠ

이 그림은 거만하기 짝이 없는 쿠르베의 자세 때문에 '천재를 맞이하는 부자'라는 풍자섞인 별칭으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외 화가 쿠르베 이야기는 모두 첨 듣는 내용... 그 얼굴에 여자 맘도 못 얻고 결혼도 하지 않았다니 놀라웠다.
앞서 말했듯 나는 잔뜩 주눅 들 수밖에 없었다. 전문가 뺨치는 소설가의 미술 산책을 감히 내가 따라가도 되나 싶어서...
이 책은 예술에 대한 사랑과 그림에 대한 넓고 깊은 지식이 소설가의 필력과 만났을 때 어떻게 꽃 피는지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러니 나같은 사람은 그저 혀를 내두르며, 침 발라가며(혀 낸 김에) 책장을 넘기게 된다. 조~심,조~심. 왜냐하면 단번에 스윽 읽어내기엔 아깝기도 하거니와 뇌에 바로 접수가 안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책은 미술에세이의 입문서로는 적합하지 않다. 혹시 작가의 명성만 믿고 책을 집어든 미알못(미술 문외한)이라면 중간에 책을 덮어버릴 수도 있다. 그럴까봐 작가가 앞에 배치한 화가는 '테오도르 제리코'다.

그림의 배경이되는 사건, 역사, 화가 이야기, 그림의 디테일 설명까지! 보통 미술관 도슨트에게서 들을 수 있는 친절함이 묻어난다.
작가는, "1장은 읽어야하지 않겠냐?"며 너무 일찍 손놓지 못할 글을 1장에 잘 배치한 듯 하다.
일단 1장은 권유한다. 혹시 2장에서부터 힘들다면 목차에서 아는 화가부터 찾아 읽으면 좋을 것이다. 그 후부턴 알아서 하시라~~ 그만 읽든 텀을 두고 읽든...
아, 또 누가 아는가? 처음 만난 반스의 글빨에 반하게 될지!!
미술 전공자이거나 미술사에 대한 전문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어떨까? 그래도 줄리언 반스라는 작가를 이 책으로 처음 만난다면 각오는 해야할 것이다. 작가의 글 스타일에 적응하려면 시간이 좀 걸릴 것이고, 자신의 미술사 지식 자부심에 스크래치가 생길 수도 있다. 작가가 수집한 디테일에 고개 숙이게 될지도 모른다. 작가적 상상력에 고개 갸우뚱하게 되더라도 너무 비판하진 말길 바란다. 제목에서 이미 밝혔지 않은가? '아주 사적' 이라고!!
이 책은 가고 싶은대로 이리저리 그림 산책하는 소설가의 뒤를 살금살금 쫓아가는 맛으로 읽으면 좋다. 놀랐다가 감탄하다가 하품도 좀 하다가~~ 소설가의 뒤만 놓치지 않으면 어느 순간 뿌듯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웬만한 그림 설명을 들어도 쉽게 접수되는 순간, 줄리언 반스에게 고마워하게 될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며 놀란 게 한 두가지가 아니지만, 인상깊게 읽었던 장 위주로 짧게 정리해본다.
9장의 앞부분을 읽다가 이 이야기 어디선가 들은 것 같은데... 하고 몇 장 더 읽다보니 그림이 나왔다. <욕조안의 나체>였다. 그제서야 작년에 처음 만났던 ‘피에르 보나르’였고 도슨트의 설명이 떠올랐다. 급 반가웠다. 목차에서 이름만 보고 못 알아봐서 미안합니다!! 보나르~~
그가 너무나 사랑했던 뮤즈, 마르트가 등장하는 그림을 385점이나 그렸다. 죽은지 5년이 지날 때까지 마르트만 그렸다던 보나르의 정부 르네이야기. 작가가 펼치는 화가와 그의 삶, 그리고 그림이야기가 흥미롭게 읽혔다. 마치 소설처럼.
15장 이것은 예술인가?에서 만난 ‘론 뮤익’과 ‘폴 리셰’의 작품은 섬칫했다. 예술을 논할 때 접점에 놓는 단어는 외설이고 주로 회화가 많았던 것으로 안다. 쿠르베의 작품 ‘세상의 기원’을 논할 때도 그러했을 것이고. 그런데 폴 리셰의 조각은 기괴하다. 척수매독 환자의 상태라고 한다.
충격적 조각상을 보여주며 시작한 이 장에서 작가의 아주 사적인 예술론은 이렇게 마무리 된다.
"예술이 주는 지속적인 즐거움 가운데 하나는 의식의 각도에서 접근하여 우리의 걸음을 멈추게 하고 감탄을 자아내는 힘이다. <운동 실조증에 걸린 비너스> 때문에 론 뮤익의 <죽은 아빠>의 강렬함이나 그 감동이 조금이라도 약화되는 일은 없다. "
16장 일화주의자에서는 작가로서의 실력을 뿜뿜해주신다. 일화주의자와 서사주의자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작가와 화가들을 두루 불러온다. 이 장에 등장하는 작가와 화가의 면면이 장난 아니다. 읽을수록 ‘아니, 어떻게 이런 걸 다 알 수가 있지? 누구누구가 했다는 이 말은 진짠가? 프로이트가 전처 딸이랑 잤다는 건 또 어떻게 알고?’ 급 팩트체크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만 바로 깨갱이다. 내가 감히 무슨 수로 팩트체크를 하겠는가?ㅎㅎ 여기서 프로이트는 화가 루치안 프로이트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손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