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이야기
김종광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군대이야기는

남자들이 

평생을 걸쳐

입에 올리는 소재이다.


젊은 시절의 2년 여일 뿐인데

어떻게 그렇게 오랜기간

대화의 소재가 될 수 있는 것일까?


그것은 그만큼

군대가 사회와 

다른 특이하고 신선한(?)

부분이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이런 군대도

시기에 따라

조금씩 분위기가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예를 들어,

1960년대의 군대이야기와

2010년도의 군대이야기는

분위기가 사뭇

다를 것이라 여겨진다.


이 소설에서의

군대이야기는

1990년대 중반의 군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시기는

노태우 정권에서

김영삼 정권으로 넘어가고

몇 년이 지났을 때인데,

이는 다시 말해

오랜 군정이 끝나고

문민정권이 들어선 상황이라는

의미이다.


이 당시

군정권이 막을 내리면서

군대에도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 이 시절에는

군대내 무사고를 강조하는 분위기가

이전보다 강했다고 하는 

분들이 많다.

그렇지만

아쉽게도

이 무렵

해안경비부대에서 간부가

소대장 길들이기에 불만을 품고

무장탈영하는가하면,

사격장에서

중대장을 사살한 병사도 등장해 사회를 놀라게 했다.

또, 탈영 후 서울로 진입해

총격전을 벌인 군인도 있었다.


과도기로 해석해야할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군대 내에 큰 사건들이 존재했었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이 무렵의 군대 내부는 어땠을지

궁금해져온다.


이 소설에서

당시의 군대를

엿볼 수 있는데

작가는

여기서

소개팅에 나온 여자에게

군대이야기를 해준다는

다소 재미난 구성을 취한다.


이것이 비현실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나 역시

일본인 여자가

나에게 군대이야기를 듣고 싶어서

자꾸 물어본 경험이 있기때문에

완전 비현실적이라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아무튼

작가는

선 보는 여자에게 이야기하듯이

군대이야기를 해나간다.


가장 비여성스러운 

금녀의 구역을

이처럼

여자에게 설명하면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는게

신선하다고 생각된다.


허구문학인

소설이기는 하지만

작품은

작가의 직접 경험담처럼 여겨진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작가의 군대이야기를

새로운 포맷으로 풀어놓은게

아닌가 생각되기도 한다.


하지만

말한 것처럼

소설은 허구이므로,

작가=주인공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다.


극중 주인공은

군생활을 잘한 인물이다.

작업 등에 능숙하여

인정받는 군생활을 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그 당시에는 어느정도 존재되었던

구타와 기합 (책에서는 타격과 요가라 표현)도

'take & give'(고참한테 받고 후임한테 주기)하며

26개월을 보낸다.


15년도 더 지난

군대이야기이기때문에

와닿지 않는 이들도 있겠지만

나같은 경우

이보다 몇 년 후인

1990년대 후반에 

입대했기 때문에

군대이야기가

재미있게 읽혀졌다.


군대는 분명

대한민국 남자들이라면 통과해야할

곳임이 확실하며,

그렇기때문에 전역 후에는

누구에게나 당당하고 재미있게

이야기할 수 있는 곳이 되어야한다고 본다.


하지만 

2014년 현실 속 군대는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군대 내에서

일어난 무장탈영과

구타사망 사고,

성추행 의혹 등은

군대를 더 부정적으로 보게 만든다.


현실이든

소설이든

군대이야기가 더 이상 무겁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마치 이 소설에서 이야기하듯

군대이야기가

재미있는 추억이야기처럼

주고 받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군대문화가 조금 더

변화해야되는게

아닌가 생각된다.


간만에

군대이야기를 읽으니

군대 생각은 나는데,

소설 속 분위기와 달리

나한테 떠오르는 군대는

아름답지 않으니

안타깝다.

앞으로 많은 젊은이들은

시간이 지나

군대이야기를 떠올리더라도

즐겁게 미소지을 수 있는

상황이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