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러니까 당신도 써라
배상문 지음 / 북포스 / 2009년 6월
평점 :
글쓰기 가이드 책자가 범람하는(?) 시기이다.
이렇게 써라, 저렇게 써라 하는 책들이 많이 나오면서
도서관 한 귀퉁에 글쓰기 책자만
족히 수십권 나오는 세상이 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류의 책을 몇 권 접하다보니
다 거기서 거기 아닌가하는 생각도 들게 된다.
자신이 글 좀 쓴다하여 책을 내서 얘기해주는건데
기실 일반적이고 평이하다고 해야할까?
암튼 그런 실망이 적지 않이 있었다.
'그러니까 당신도 써라'는 우선
작가들을 아니면 예비작가들을 위해
쓰여진 책이라 할 수 있다.
작가는 기본적으로 엉덩이 싸움이다.
그리고 항상 글을 써야한다.
머리 속에서 아무리 백날 생각해봤자
글로 표현하지 않았다면
일을 하지 않은게 작가다.
사실 이 부분이 너무 당연한데
나에게 다가왔다.
나는 전문 작가는 아니지만
이런 생각, 저런 생각은 많으면서
글로 옮기는데는 몹시 소흘했다.
이는 나중 두고두고 후회하는 일이기도 했다.
그래서 이제는 되든 안되든
우선 쓰고보자는 생각을 가지게됐고,
이게 이 책을 읽은 후 가장 큰 성과이다.
질만큼 양도 중요하다.
이것은 글쓰기 향상에 필수적인 이야기이다.
고차방정식을 많이 풀어봤어야
수학을 잘 할 수 있는 것처럼...
결국 작가란
'오늘 글을 쓴 사람이다'라는 말도 와닿는다.
많은 글쓰기를 방해하는 요소는
'지나친 독서'임도 알아야한다.
책을 많이 읽어야 많이 쓴다는 생각으로
읽는 것에만 열중하면
글쓰기는 늘지 않는다.
또, 너무 소심해서 주관이 없는 글을
경계하라는 그런 이야기도 공감이 갔다.
글쓰는 이가 지나치게 남을 의식하고
소심하게 굴어서는
힘들다는 이야기이다.
내가 조금 눈치보며 쓰는 경향이 있어서
별표를 좀 쳤다. (마음 속에 별표)
그리고, 타켓을 세분화해서 글쓰는것도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이야기도...
이 책의 저자 배상문은
솔직히 잘 모르는 인물이다.
뚜렷한 경력을 알 수 없는데
글과 책을 좋아하는 저자임은
분명해보인다.
글 중간중간에
느껴지는 문구 중에
필이 꽂히는 것이 많았기 때문에
글쓰기에 있어서는
분명 능력자라 인정하기로 한 것이다.^^;
아무튼 글 잘 쓰는데
왕도가 있을리 없다.
다독, 다작, 다상량인데
이중 다작에 비중을 두고
다독과 다상량의 비중이 높다면
구조조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