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4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스트램프 제2권

1권에 이어 어떤 내용으로 전개가 될지 궁금하게 생각되었던 책이다.

중국풍의 소설을 읽는 경험은 많이 없어서 그런지 중국에 대한 신비 아니면 엽기를 많이 상상하게 되는 것이 보통일 것이다.

역시 고스트램프에서 중국의 엽기스런 상상을 엿볼수 있는데 상상일지 실제일지..아마도 실제가 더욱 맞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한줄 한줄 읽어내려갔다.

1권에 비해 2권은 조금 섬뜻하다.

도두로써의 길을 걸으려는 주인공 호팔일과 뚱보는 예전에 잠시 머물렀던 산골동네를 찾아간다. 그때 그곳에서 보았던 도자기를 발굴해 내어서 한밑천 잡아보려고 하는 생각으로 그곳으로 향하지만 그곳에 도착했을때는 이미 시간이 많이 경과한 뒤라서 동네의 사람들이 발굴에 대거 참여를 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황당해 하던 두 사람은 그래도 발굴이 안 되었을 것이라는 곳을 찾아서 떠나기로 하는데 그곳이 바로 야인골이다. 제 2권은 야인골의 비밀지하요새에서 벌어지는 사건으로 보면 그 내용이 제목으로 부터 먼저 느껴진다. 흥미로움. 그리고 진지함.

도두라는 것이 무덤을 발굴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고 한다. 남의 무덤을 파헤쳐서 그곳에 있던 보물을 찾아 내다 파는 것. 꽤 짭짤한 수익을 거둘수 있기를 기대하는 호팔일과 뚱보.

 

제2권에서 섬뜩하다고 느끼는 것은

첫째 무덤가에 도착해서 텐트를 치고 시간을 보내고 있는 일행에게 물건을 지게 했던 말이 내장을 다 파먹힌 이야기..상상하면서 읽어내려가려니 상상하기 싫었던 부분이다. 

둘째 장군의 묘역을 파헤치며 보물을 거둬들이려고 할때 장군이 강시가 되어서 호팔일 일행에게 겁을 주었던 것. 예전에 중국영화를 보다보면 강시의 이미지가 떠오르면서 뛰기는 피와 범벅이 되는 사람들이 상상이 갔다. 역시 상상하기 무서웠다.

셋째 무덤에 아이들을 순장하게 되면 부귀영화를 누린다는 속설로 인해 재물이 되어버린 어린 아이 두명. 납으로 아이를 오염을 시켜서 썩지도 못하게 만들어버린다는 이야기를 읽고 나서는 중국인들이 얼마나 무서운 사람들인지를 놀라울 정도로 섬뜩했다는 것이다.

 

야인골의 비밀지하요새를 읽으면서 가장 가슴아팠던 내용이었다. 순장하는 나라.....

 

결국 발견해낸 지하요새는 일본인들이 버려두고 간 곳이라서 굉장히 많은 군자물품이 있던 덕에 산골마을은 부자로 살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마무리가 되어 진다. 그러나 호팔일과 뚱보는 대단한 결과물을 얻었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가져간 "나방이무기 무늬 쌍리기옥"이라는 것이 별로 값어치가 없다는 말을 듣고 허탈해 지면서 다음번에 정말 돈이 되는 물건을 얻을 생각에 다음의 목적지를 찾아가기로 한다. 그래서 이것이 마지막은 아니라는 것 총 6가지 내용으로 구성이 되어진 고스트램프. 이제 2권을 읽었다. 3권은 더욱 흥미진진해 진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무서운 내용. 가슴아픈 내용은 없었으면 좋으련만.... 

 

중국의 신비로움이라고 할지는 모르나 그저 모험소설이 궁했던 분들이라면 읽어볼만한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스트램프 제1권 - 비밀지하요새
천하패창 지음, 곰비임비 옮김 / 엠빈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고스트램프 미니북 제 1권>

손바닥만한 크기의 책을 접하는 계기가 되었다.

글자가 너무 작아서 읽을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그래도 한번 두번 눈에 익고 나니 그런데로 책의 의미를 파악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었다.

 

고스트램프 표지를 보면 서양의 인디애나존스가 있다면

동양에서는 고스트램프가 있다는 부제목이 써있을 정도로

재미와 흥미를 그리고 모험을 좋아하는 책을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기가막히게

재미있을 것이라는 내용을 언뜻 비추었다.

 

내가 알기론 인디애나존스는 주인공의 이름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럼 고스트램프라는 이름이 나오는 것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게 하면서 첫장을 열었다.

 

처음부분을 읽어나가자 뭐야 이게 하는 나지막한 소리를 내면서

다음 장에는 좀더 흥미가 있는 내용이 나오겠지 라는 막연한 생각을 하면서 읽기 시작했는데

아마도 이틀만에 다 보았던 것 같다.

겉으로는 재미없다라고 외치면서도

속으로는 그 뒤가 너무도 궁금하야 책을 덮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ㅎㅎ

이런것이 모험소설의 묘미가 아닐까 한다.

 

주인공은 호팔일...작가가 중국인이다 보니 그러하다고 생각이 든다.

너무도 유치한 그러나 그 이름 속에는 행운을 상징한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고 했다.

거의 중간 정도에 글을 쓰는 입장의 주인공의 이름이 언급이 되었을때

그러니깐 호국화가 주인공인줄 알았던 시간에서 조금 더 흐른다음에야

호팔일이라는 이름이 주인공이라는 것을 알았을때 너무도

유 치 했 다.

 

아마도 조금 흥미로운 이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을 지도 모른다..해리포터처럼 뭔가 흥미진진한

느낌이 드는 이름..ㅎㅎ 예상을 뒤엎었다는 것...

그래도 주인공의 이름이 무엇이 중요하리냐..싶어 읽어내려가면서

 

책의 내용속에 흔히 등장하지 않는 내용의 생물체들이 나온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고대 왕릉이라고 생각되던 곳에서 발견된 불 무당벌레의 엄청난 파괴력..

패왕 도룡뇽..내용속에서 나오는 매화당의 백번째 미녀..그리고 귀신이 붙어서 종이가 사람이 되어

호국화를 도와주는 내용..

써 내려가다 보니 나름 새로운 것은 아니리란 생각은 들지만

순간 내 뇌리에서 스치는 생각은 잔인하다.

접하기 싫다라는 느낌이 조금 더 가미되었던 것 같다.

그래도 재미있다라는 것은 바꾸고 싶지 않은 내용인것 같다.

 

중국의 개화기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라서 그런지 군인이 등장하는데

왜 군인들이 등장을 하면 왠지 북한의 아리랑이 생각날 정도로 똑같은 모습의 사람들이 연상이 되는 것인지.

또 그 사람들의 말투가 북한말투로 진행이 된다고 생각을 하니

예전에 드라마나 영화에서 보았던 장면이 상상이 되면서

그 모습들이 너무 싫어졌다.

그냥 전쟁이라는 단어가 생각나는 것이 싫어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죽이고 장악하고 이러한 모습들을 상상하는 것이 싫었던 것 같다.

 

한 장면 한장면이 끝나면서 에게 이게 모험을 했다는 거야..

야인이 산다는 산에 가서 곰과 대치했던 일

그 곳에서 귀신을 보았던 일.

군인이 되어서 곤륜산을 가다 불무당벌레를 만나 죽을 뻔 했던 일..

패왕 도룡뇽을 만나게 되었던 일...

주인공은 같으나 다른 내용을 보았던 것 같은 좀더 자극적인 내용의 전개가 절실했다.

계속 이어가면서 좀더 흥미진진한 내용의 글들이 부족한 듯 보였다.

 

78년생의 나이가 어리다고 하면 어린 작가가

자신의 여자친구가 인터넷 소설에 빠져있는 모습을 보고 인터넷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는 것이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아주 사소한 일에서 대박이 나온 결과이지 않나..

또 영화화로 만들어 졌다고 하니

영화가 궁금해 지기도 하다.

나름 재미있지 않게 읽었다고 하지만

그 후에 동일 내용이 어떻게 전개되는 것은 궁금한 것이 당연한 일이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4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