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엔 형만 있고 나는 없다 푸른숲 새싹 도서관 1
김향이 글, 이덕화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서 느껴지는 소외감은 아이를 더욱 사랑스럽게 만드는 것 같아요.

우리집엔 형만 있고 나는 없다라는 이야기를 얼마나 하고 싶었을까요.

왜 난 둘째여야만 하는지 왜 나에게는 엄마의 사랑이 더욱 크게 보이지 않는

것인지. 왜 엄마는 형에게만 더욱 잘 해주고 나에게는 잘 해주지 않는 것인지.

 




책을 읽다보니

이가 아프다고 하지만 진통제를 먹으라고 말만 하는 엄마가 보여요~

그런 엄마가 야속하기만 한 민재가 안쓰러워 보여요.

엄마는 형이 오기전에 닭튀김을 해 놓으려고 바쁘거든요.

심퉁방퉁이 되어버린 민재를 보면서

둘째로 자라난 나를 생각해 봅니다.

항상 언니만 언니부터라는 말을 들어 와서

언니를 이겨먹으려고만 했던 저의 어린시절이 말이죠~

지금은 언니가 그래 언니 해라 하면 왜 그렇게 싫은지....

 

 

지금 저의 자식들도 그런 생각을 할까요?

특히 쌍둥이 중에 둘째는 자신이 첫째가 아니라는 것에 소외감이 느껴질 정도로

야속한 적이 있었을까 싶어요.

최대한 아이셋을 공평하게 대하자 하고 지내지만

막상 왜 그랬을까를 고민하게 되요.

언니는 언니답게 동생은 동생답게 지내는 것이 참 힘든 일이기도 하구요~

 

대한민국 대표 동화작가 김향이님의 작가의 말을 읽어 보면

언니라는 존재가 둘째에게 오는 부분이 상당히 심한 경쟁의식으로 될수 있다는 사실을 보면서도

내가 어릴적 언니를 무시하고 싶었던

지금의 셋째가 언니 오빠를 무시하고 싶은 마음이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한날한시에 난 손가락도 길고 짧은 것이 있다" 라는 말이 와 닿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