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석 판소리 - 조선의 오페라로 빠져드는 소리여행 방구석 시리즈 3
이서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로문화재단에서 매년 다양한 판소리 공연을 준비해 주기 때문에 판소리를 일년에 한번씩은 접하게 되는 기회를 얻습니다. 판소리가 어쩌면 지루하기도 하고 어렵기도 해도 잘 접하지 못하는 장르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책을 받아 든 순간 기억에 나는 장면이 있었는데요. 바로 <흥보가>"화초장"입니다. 얼마나 익살맞게 연기를 잘 하셨거든요. 무거운 화초장을 등에 짊어지고 가는 놀보의 행동이 안타깝기만 했습니다. <방구석 판소리>의 매력은 무엇일까요? 외국에는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없다고 느끼던 음악을 꺼내 좀더 대중적으로 만들어 준 것이 가장 큰 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공연속 장면을 떠올리며 <춘향가>"쑥대머리"를 연상하고 구슬프게 노래하는 명창들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글로 보는 색다른 맛을 느껴볼 수 있었습니다. 요즘에는 글속에서 자꾸 연상작용이 일어나 꼭 그 장소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이 많이 들어요. 그래서 글 읽기가 더욱 편해지고 재미나지는 거 아닐까 합니다.

 

<방구석 판소리>는 조선의 오페라라고 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전통 판소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익히 잘 하고 있는 판소리 5마당인 <심청가>, <홍보가>, <춘향가>, <수궁가>, <적벽가>의 판소리를 그대로 소개하고 있어요. 설명글을 덧붙여서 좀더 판소리를 이해하기 쉬운데요. 판소리 대목을 흥얼거리며 뜻을 이해하면서 읽는 재미가 있어요. 책의 구성은 총 5파트로 구분을 해 놓은 점이 판소리를 타령과 향가, 고전시가, 고전소설을 전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마지막 파트인 [달빛아래 붉은 실]에서는 고전소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금방울전><정수정전>은 이번에 처음 만나게 된 고전소설이었습니다. 미모를 겸비하거나 용험한 재주를 가진 주인공들의 등장으로 악한 것은 물리치고 선한 사람들에게는 복을 주는 권선징악의 흐름을 잘 표현해 주고 있어요. 어릴적 이런 이야기들을 듣고 보고 자라난 이유로 이쁘고 잘생긴 재주있는 것을 동경하게 되기도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구성과 내용 면에서 재미를 주니 국어 공부를 다시 하는 느낌도 들었습니다. 이번 책이 세상에 나온 이유의 작가님의 의도도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선한 기질을 가진 사람은 삶의 풍파 속에서도 흔들릴지언정 그 뿌리가 뽑히거나 꺽어지 않기 때문입니다. 결국, 우리가 이 이야기를 통해 깨달아야 할 것은 선한 마음이야말로 어떤 역경 속에서도 그 사람을 굳건하게 만든다는 깨달은 아닐까요.

<방구석판소리> P51 중에서

 

 

범나려 온다 범이 나려온다 송림 깊은 골로 한김생이 내려온다

누에머리를 흔들며 양귀 쭉 찢어지고 몸은 얼쑹덜쑹 꼬리는

잔뜩 한발이 넘고 동이 같안 앞다리 전동같은 뒷다리 새낫같은

발톱으로 엄동설한 백설격으로 잔디 뿌리 왕모래 쫘르르르르르 헛치고 주홍입 쩍벌리고 자래 앞에거 우뚝서 흥:::앵 하는 소리 산천이 뒤덮고 땅이 툭 매지난 듯

<방구석판소리> P76

 

 

수긍가에 범을 만난 별주부의 이야기가 판소리로 들리더라구요.

<옹고집타령>은 소설로도 만드렁져 <옹고집전>으로도,

<옹생원전>으로도 불립니다. 19세기 중엽 창을 잃어버려

현재는 판소리가 이어져오고 있지는 않지만, 여러 소리꾼들의

활약으로 새로운 색채가 입혀지기도 했습니다.

<방구석판소리> P122 중에서

 

 

현재 전승되고 있는 <변강쇠타령>은 신재효본의 사설을

바탕으로 정리한 것과, 사건을 단순하게 정리한 서도창본으로

나누어집니다. 사설만 남아 있고 창을 잃은 소리이기 때문에 이

역시 새로 곡을 붙여 부른 것이지요. ()과 죽음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이 작품의 특성은 창이 사라진 하나의 이유로 작용했을 것입니다.

<방구석판소리> P152 중에서

 

 

 

여러가지 이유로 판소리가 사라져간 이유가 있었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계승을 이어가지 못한 소리는 사라져 버리는 안타까움을 잊어서는 안되겠습니다. 이 책의 또다른 장점은 [판소리 용어해설]을 수록해 두었다는 것입니다. 낯선 판소리 용어들을 숙지하고 판소리를 들어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