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라하 도시설계 매뉴얼 : 공공공간
Prague Institute of Planning and Development 지음, 강 / 서울연구원 / 2023년 4월
평점 :

<지은이>
Prague Institute of Planning and Development
<옮긴이>
강영구는 서울대학교 도시공학과 학사, 석사학위 취득. 미국 MIT 도시계획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이며, 국제저명학술지(SSCI) IJUS의 편집장과 스마트도시연구센터의 센터장을 맡고 있다. 서울시 국제도시개발협력단 단장이었고, 세계은행 등 여러 국제기구의 도시계획 전문가로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는 「도시계획론」(2008), 「지역개발론」(2017), 「도시의 자격」(2021), 「도시의 비움」(2021) 등이 있다.
<책을 읽고>
이 책의 매뉴얼은 프라하의 공공공간을 계획, 설계, 관리, 운영, 활용하는 데 있어 도시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이며 공공공간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일과 관계된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이 책의 구조는 매뉴얼의 소개, 공공공간의 유형, 얼개(통행을 구성하는 부분의 설명), 요소(나무, 시설물, 조명, 광고물 등)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시와 도해를 통하여 이해를 돕는 형식으로 꾸며져 있다.
우리와 다르게 생각하는 그들이 중요하는 것은 무엇인지 책을 통해 알게 된 몇 가지가 있다.
교통정온화 : 유럽에서는 공공공간의 사용자 모두가 편안하고, 행복하고, 안전함을 느낄 수 있도록 바닥의 재로를 전통적으로 쓰였던 돌을 사용함으로 밀집된 도시 구간에서의 차량의 통행속도를 줄이도록 유도하고, 교통의 약자인 보행자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인도의 넓이와 높이를 설정하는 세심한 배려가 돋보인다.
가로수의 효율적인 활용 : 나무는 온도를 조절하고, 원만한 순환과 공기 습도를 촉진하며, 먼지를 줄이고, 그늘을 제공하고, 산소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도시의 자연을 대표하며, 다른 종의 비오톱 역할을 하며, 계절의 변화를 느끼게 하고, 주변 미관을 개선하고, 자동차 교통과 과열된 도시환경의 부정적인 영향을 보상하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가로변의 가로수가 낙엽으로 인한 도시미관의 저해와 상점의 외관을 가리는 점을 들어서 매출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생각으로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하기도 한다. 그래서 나무와 도시의 공존이 소극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놀이공간의 포용성 :공공의 놀이공원과 놀이시설에서의 경우 놀이공간 프로그램을 특정 연령만을 대상으로 하고 다른 연령의 사람들은 배제하는 방식은 적절하지 않으며, 다양한 연령층을 끌 여당기는 요소는 사회적 포용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람들은 기회가 된다면 누구나 유럽으로 떠나고 싶어 한다.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유럽을 동경하고, 여행을 가고 싶어 하는지는 유럽을 여행하고 난 뒤 그들이 남긴 사진이나 영상을 통하여 남긴 여행의 기록들을 보고 유럽의 매력에 더 깊이 빠진다. 유럽의 도시들의 특징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공간이 존재함으로 여행의 만족을 두 배로 느낄 수 있어 그럴 것이다.
프라하의 도시에서 공공공간의 관리는 과거의 시설물 보수에 있어서 현재의 시설물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보수가 이루어 지고, 보행자를 우선적으로 도시설계 매뉴얼을 만듬으로 시민과 해외의 여행객들에게 만족감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