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자의 도덕경 수업
이상윤 지음 / 모티브 / 2025년 8월
평점 :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글입니다."
노자의 글에는 특별한 것이 없지만 깊이가 있다. 그저 평범한 글들이 대부분이다. 자연과 조화롭고, 순리를 따르는 삶을 추구한다.
아주 옛날의 노자가 쓴 글이 아직도 읽히는 이유는 정보의 바다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비움의 지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비움으로, 인간은 자신을 낮춤으로 마음의 평화를 얻게 된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처럼 쉬운 노자의 말을 따르지 않는다. 그 이유는 욕심이 많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서 식견이 누구나 쌓이기 마련이다. 좀 더 넓은 시각으로 보게 되는 것이다. 인간이 어디서 왔는지, 어디로 갈 것인지를 생각하면서 노자의 생각을 이해하게 된다. 나도 나이 50세가 지나서 노자가 이해되기 시작했다.
"도는 그릇처럼 비어 있다. 그래서 비우면 채워지고, 차면 다시 비워진다. ~ 삶은 이처럼 서로 반대되는 대상 사이를 끊임없이 오가며 균형을 찾아간다." - p124
- 얼마만큼 마음이 비어 있는가. 비움 속에서 외부의 여러 가지를 수용하면서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는 상황을 유지하는 것이다. 하루하루 채움과 그리고 비움을 통하여 삶의 건강함을 유지한다. 인간의 삶도 생명이 다함과 함께 구성 물질은 미생물에 의해 자연의 한 줌 흙이 된다. 그 후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고, 삶은 반복이 된다. 우주도 또한 이와 같다. 노자는 이런 자연의 순환을 통찰했다는 것이다.
"타인에 대한 관용이 높은 사람일수록 정신적으로 더 건강한 상태를 유지한다고 한다. ~ 과도한 편견은 스스로에게 심리적 부담과 불행을 안기는 셈이다. - p151
-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서 오늘도 수많은 정보가 만들어진다. 이 많은 정보 중에 일부만을 편취하여 생각하고 판단을 한다면 마치 우물 안의 개구리처럼 생각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편견이란 부정적인 면이 강조된 기울어진 상황이 좋을 리는 없다. 보이는 것에 대한 좌우 치우침이 없어야 한다는 것은 노자의 사상과 통한다. 편견은 불안감과 우울증과 연결이 되어있으며 자연히 스트레스를 받는 처지에 이르며 결과적으로 고립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사회적으로는 이를 해결하기에 큰 비용을 지급하게 된다.
"노자는 말과 행동의 일치를 중요하게 여긴다. 행동은 하지 않으면서 말만 앞서는 것을 가장 부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보았다."- p157
- 노자의 철학에는 무위를 말하지만, 무위란 실제 말과 행동이 조화로운 자연스러운 행동을 말한다. 언행일치가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것이다. 말만 하는 것은 공허할 뿐이고, 말과 행동이 다르면 신뢰감을 잃기 마련이다. 주변에 이런 사람이 많다. 사기꾼들은 미사여구를 사용하고, 화려한 물건으로 사람의 마음을 유혹한다. 그 들의 덫에 걸려 오늘도 수많은 사람이 눈물 흘리고 있지만 사람들은 하루가 지나면 잊어버린다. 진실은 언제나 무취하고, 무색으로 마음을 비워야 보이는 것이다.
노자는 공자와 자주 비교되곤 한다. 인과 예를 중시하여 도덕과 사회질서를 강조했지만, 노자는 도와 무위를 통하여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였다. 동물과 인간은 이기적인 유전자를 소유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나는 자연과의 소통이 적은 이 시대 사람들에게는 공자의 사상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획일화되고, 조직화된 구조로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인정이 부족한 것은 윤리와 사회 규범이 강화되는 사회가 해결해 줄 것이다.
그러나 인간 본연의 삶이 풍요롭고, 창의성과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노자의 철학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매일 흐려지는 마음은 명상과 자연 산책과 같은 노자의 가르침을 따르면 자연스럽게 자아를 튼튼하게 하여 삶의 리듬을 회복시킨다. 이는 단순한 스트레스 해소를 넘어, 내면의 여유와 창의적 에너지 회복의 토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