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를 찾습니다 - 진보는 세상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
박찬수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흥미로운 책이다

진보가 집권했다는 시대에 진보를 찾고 있자니 참으로 아이러니 한 부분이기도 하다.

이번 <진보를 찾습니다>는 그런 책이다. 과연 우리가 바로보고 있는 저들이 진보일까. 이것은 어떻게 보면 적지 않은 시간동안 논쟁이 됐던 문제이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해 민주당 계열의 전당들은 정말로 진보당이었을까?

우리는 이것은 정책 공약을 중심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고 아니면 세력을 중심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어떻 것에 있어서도 더불어 민주당은 진보라고 표방하기는 힘들다. 반정부적인 성격 혹은 반독재 세력들의 연합적인 측면은 있어도. 서구에서 우리가 봤던 노동자를 중심으로 결성된 곳은 아니다.

그렇다면 진보정당은 무엇일까. 나아가 진보를 표방하는 것이란 무엇일까. 한국에서 이를 안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반에서 가장 떠드는 녀석이 인싸이고, 그 반을 가장 대표하는 녀석처럼 보이듯이, 우리의 진보 또한 어떻게 보만 납치 당했다. 더불어 민주당에 의해 말이다.

이번에 읽은 책 <진보를 찾습니다>는 그래서 정말 중요한 책이다. 한국적 맥락 안에서 진보의 가능성들이 어디에 있고, 이를 어떻게 키워 나가야지 진정한 진보를 표방한 정당과 정치인이 나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책이다. 이 책은 박찬수 기자가 <한겨레 신문>에 연재했던 것을 묶은 책이다. 그 당시에 읽을 때에는 단순하게 인터뷰 묶음인 줄 알았지만, 다소 재 조직된 그의 말과 글은 정말 진보라는 것을 찾는 방향으로, 그것의 흐름으로 우리를 이어준다.

대선을 앞두고 정말 진보를 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나는 이 책을 꼭 한번 추천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특별한 형제들 - 친일과 항일, 좌익과 우익을 넘나드는 근현대 형제 열전
정종현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렇다.

나는 과거 정종현 선생님이 쓰신 책을 한 권 읽은 기억이 난다. 책의 제목은 <특별한 형제들>이다. 그 책은 나의 관념을 하나 깨버렸다. 친일파들은 어제나 나쁜 역할을 했을가? 민족을 수탈했던. 그리고 당대의 부자들이기만 했을까?

정종현 선생님의 책 <제국대학의 조센징>은 이 같은 나의 통념을 깨버리는 것이었다. 당대 살던 사람들이 엘리트가 되고자 혹은 기득권이 되고자 했던 욕망들을 저자는 추적했다. 그리고 그 욕망이 대학이란 기관안에서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서 구현됐으며, 나아가 그것이 우리나라가 세워지는 데 있어서 어떤 역할을 했는까지 올라간다.

이번에 읽은 책 <특별한 형제들>은 그래서 더욱 특별한 책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상막하고 끝없을 것 같은 보수와 진보간의 대립. 그리고 친일 행위가 21세기가 됐는데도 불구하고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 정종현 선생님은 친일과 반일을 중심을 가족이란 전선으로 가져온다. 그리고 그 가족 안에서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선택이란 것을 통해서, 우리가 멀게로만 생각했던 친일과 반일의 문제를 돌아본다.

이번에 읽은 책 <특별한 형제들>은 그래서 대선 후보들이 꼭 읽어봐야 할 책이 아닐까 싶다. 과거의 갈등이 현재를 잡아먹고 있는 상황에서, 이 책을 그 갈등이 얼아마 허무한 것일 수도 있고, 혹은 모순적일 수 있는 것인지를 알려준다. 과잉 혹은 거품화 된 일본에 대한 우리의 통념들이, 상호성을 통해서 얼마나 부서질 수 있는지. 그리고 가족이랑 공간을 중심으로 이 책은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주주의가 안전한 세상 - 세계질서의 위기와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G. 존 아이켄베리 지음, 홍지수 옮김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좋은 책입니다. 꼭 읽어보세요^^ 민주주의가 어떻게 거시적으로 작동하는지를 볼 수 있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주주의가 안전한 세상 - 세계질서의 위기와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G. 존 아이켄베리 지음, 홍지수 옮김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KakaoTalk_20211218_190316878_01.jpg


그것은 어쩌면 미국이란 나라가 안에서 어떻게 보여주는 지를 보여주는 한 장면이었다버팔로 모자(?)를 쓴 한 사내가 자신의 힘을 자랑하면서 미국 의사당에 진입하고수많은 백인우월주의자들이 마치 박물관을 견학하러 온 사람들처럼 혹은 소비자처럼 의회 여기저기를 들 쑤시고 다니는 모습을 무엇이라고 할까거대한 비행기가 미국의 타워를 한 번 박은 것도 아니고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철군을 한 것보다수많은 백인들이 의회애 진입해 의회를 휘젖고 다닌 것은 그래서 단순한 헤프닝으로만 볼 수는 없었다.

 

양극화는 단순히 사회 전반 경제적으로 분리됐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저이적으로 얼마나 불안한 사회적 상태를 만들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모두가 정치적으로 동등한 권력을 갖고 있다고 선언이 된 것이 민주주의다나아가 그들에게 동등한 참여를 보장하는 게 민주주의다참여란 것은 상당히 애매한 개념이다어떤 특수한 완력보다사람들의 도덕성 즉 그렇게 해서는 안된다는 분위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특정 2인 과의 문제에 대해 대개 3자는 끼어들지 못한다그 두 사람간의 합이가 뭔가 불의하게 돌아가고 그러한 불의함이 제3자에게도 영햐을 미칠 때 그 사람은 개입의 필요성을 느끼고 또 목소리를 낼 것이다그런데 모두가 언제나 항시적으로 공동체의 문제를 모여서 물리적으로 결정하게 된다면 어떤 상황이 벌어질까우리는 숙의라는 핵심적인 사안보다는얼마나 참여할 수 있는 보장의 개념으로 인해서 더욱 혼란한 상황과 마주할지도 모르겠다. 2020년 미국 의회에서의 상황은 이에 대한 단면이었다.

 

이번에 읽은 책 <민주주의가 안전한 세상>은 민주주의에 그러한 단면을 보여준 책이었다이 책의 부제는 세계질서의 위기와 자유주의적 국제주의다사실 어떻게 보면 국내적으로 발생하는 시민참의와 관련된 민주주의 문제와는 관련이 없는 책일지도 모르겠다하지만 이 책은 가장 거시적인 차원에서의 민주주의를 보여주고 있다국제적인 문제와 국내적인 문제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를 드러내면서 또 그것이 어떻게 국내적인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 책은 보여주고 있다미중 갈등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는 과정에서 이 책은 민주주의가 아떻게 안에서 그리고 밖에서 무너질 수 있는지그리고 이를 막기 위해시민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책이다


KakaoTalk_20211218_190316878.jpg


공정거래 문구.p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웨하스 의자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이란 것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이야기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