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41 | 74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종교, 관념론

이렇게 종교라는 최고의 관념론이 지배자의 권력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지배층의 이익에 복무하게 된 것입니다.
(41/364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추상, 영화

사람들은 이러한 정신 활동을 일으키는 근원을, 앞서 얘기한 언어의 추상 작용을 통해 ‘영혼’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리고 인간의 물질적 육체에 정신적 영혼이 깃들였기 때문에 사람은 살아 있는 것이고, 영혼이 육체를 떠나면 죽는다고 생각했던 거죠. (34/364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추상抽象

이렇게 다양한 대상에 존재하는 공통된 성질을 뽑아내는 과정을 일반적으로 ‘추상抽象’이라고 합니다. ‘나무’라는 개념은 떡갈나무, 벚나무, 단풍나무라고 불리는 식물들에서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성질들을 체로 걸러내고 남은 공통점만으로 이루어낸 개념입니다. 그러니까 뿌리를 땅속에 내리고, 나이테가 있는 둥그스름한 몸통에 가지가 달린 식물을 일컫는 것이 ‘나무’죠. 이렇게 체로 거르는 과정이 ‘추상’입니다. (32/364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0년간 섭씨 1도 상승...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으로 지난 100년 동안 지구 평균기온이 약 1도 상승했다. 반면 과거 빙하기에서 간빙기로 변화되는 약 1만 년 동안 기온이 약 4~5도 상승했고 이것은 자연적으로 가장 빠른 온난화 속도다. 인간에 의한 온난화 속도는 이보다 약 20~25배 빠르다. (32/361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빙하기 간빙기 주기

빙하기와 간빙기 간의 주기는 밀루틴 밀란코비치Milutin Milanković가 밝힌 세 가지 천문학적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약 10만 년을 주기로 원형에서 타원 형태로 변하는 지구 공전 궤도 모양의 변화, 즉 이심률 변화다.
두 번째는 팽이 축이 기울어져 도는 것처럼 지구 자전축 방향이 약 2만 6,000년을 주기로 기울어져 회전하는 세차운동이다. 이심률과 세차운동은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에 변화를 일으켜 지구가 받는 태양에너지가 변하도록 한다.
세 번째로 4만 1,000년을 주기로 21.5도에서 24.5도까지 변하는 지구 자전축 기울기다. 자전축 기울기가 변화되면 위도에 따라 입사되는 햇빛 방향이 달라진다. 이 때문에 지표에 도달한 태양에너지의 전체 크기는 변화하지 않지만 분포는 달라진다. (27/37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41 | 74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