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란

사랑에서 비롯된 결혼도, 포도주에서 비롯된 식초처럼,
시간이 지나면, 밍밍하고 시큼하며 김빠진 음료가 되어
뛰어난 천상의 풍미를 잃고
더없이 소박한 가정의 맛을 풍기게 된다.
-바이런 경(1788~1824)*

* 영국의 낭만파 시인. 위는 「돈 후안」이라는 장편 풍자 서사시에서 인용한 구절.

-알라딘 eBook <갈라파고스> (커트 보니것 지음, 황윤영 옮김) 중에서 (99-100/46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파도 되는 청춘은 없으니까, 모두 아프지 않기를, 그리고 이처럼 아팠음을 모두 기억하고 바꾸어나갈 수 있기를."
(298/30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문학

인문학은 ‘행복’보다는 ‘후회’와 어울리는 학문일 것이다.
내가 전공을 선택하던 스무 살 무렵에도 인문학은 배고픈 학문이었고 ‘인문학 위기론’이 있었다. 그때도 경영대학으로 전과하는 문과대학의 동기들이 많았고, 그렇지 않더라도 그나마 취업이 잘되는 전공으로 모두가 몰렸다.
그들이라고 해서 문학을, 역사를, 철학을 포기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L도 그렇지만, 역설적으로 행복하기 위해서, 후회하지 않기 위해서 인문학과 결별하는 것이다.
어린 학생들에게 너희의 ‘꿈’이 있잖니, 하고 싶은 것을 하렴, 하고 말하기에는 이 시대가 너무나 가혹하다. (289/30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리의 인문학

젊어서 아파봐야 성장할 수 있다는 닳은 소리를 하고 싶지 않다. 대신 내가 뒤늦게나마 배운 연구실과 거리의 인문학을 함께 전하고 싶다. (271/30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과

지금까지 나는 ‘사과’를 한 것이 아니라, ‘변명’을 했고 ‘핑계’를 대온 것이다. (262/30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