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복주머니 찾기
졸자야 투르바트 지음 / 아람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꼬마 다글리
< 한국문화편 >
10권의 소전집으로 구성된 다글리의 또다른 부록~
다문화가정 친구들을 위한 미수다 맴버들의 멋진 한국문화소개가 펼쳐지는
멋진 사회문화영역책입니다.
오늘은 3번째 이야기~
3. 복주머니 찾기< 한국의 주거 >를 읽어보았습니다.
이 야기는 몽골에서 온 미수다 맴버 졸자야가 예쁜 한복을 차려입고
한옥에서 잃어버린 복주머니를 찾기위해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우리나라의 가옥구조를 설명하고 알려주고 있어요~
이 책의 졸자야처럼 딸램도 예쁜 한복을 곱게 차려입고 책을 봅니다. ㅋㅋㅋ
어린이집 가져가야할 한복을 미리 꺼내 입어보고 바로
책들고, 세이펜챙기더라구요~
이 책은 한복입고 봐야 한다며,,,,
꼬마 다글리< 한국문화편 >은 모두 외국인들이 한복을 입고 소개하고 있는
책이거든요~ ^^
이 책은 부분 부분 들춰보기 형태로 편집이 되어 있는 책이라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해 주고 있어요~
곳간을 열어볼 수 있고,
뒷간도 열어볼 수 있고,
아랫목 이불을 들추어 볼 수도 있고,
벽장 문을 열어볼 수 있어요~
그림 속 문을 살짝 들추면 또 다른 내용이 숨어있어
우리의 한옥구조나 기능을 자세히 인지하고, 공부해 볼 수 있게
해주었어요~
요즘 아이들이 생소한 단어,,,,
외국사람들에게도 무척이나 생소한 말들,,,,,
* 표시로 따로 표기해주어 세이펜 찍어 자세한 설명도 들어볼 수 있고,
반복해서 들으며 지식과 정보를 배울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고유한 전통 한옥은 기와집 / 초가집이 있어요~
마루와 온돌이 갖춰진 집의 구조랍니다.
대청마루 / 창호지 / 기단 / 담장 / 기와 / 처마 / 장독대 / 아궁이
벽장 / 아랫목 / 윗목 / 부뚜막 / 쪽문 / 헛간 / 장독대 /뒷간 / 곳간
이런 우리 나라 전통 가옥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내용들을
자세하게 공부하면서 한국 주거문화의 특징을 꼭 기억해야 겠어요~
우리나라의 한옥은 또한 지방마다, 지역별 구조가 많이 달랐아요~
북부지방의 한옥 / 중부지방의 한옥/ 남부지방의 한옥
그리고 제주도만의 전통 가옥 / 울릉도의 투막집 / 귀틀집 등
초가집의 다양한 변형된 모양의 집들도 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몽골에서 온 졸자야는 우리나라 사람과 아주 비슷한 외모를 지녔어요~
몽골의 전통가옥은 '게르'랍니다.
우리나라 가옥과 비교해 공부해봐도 좋을것 같아요~
정성을 다해 작아도 쓸모있게 집을 지어 지금까지도 한옥의 매력과 전통을
지켜나가는 우리의 집과 이동식 집인 게르는 짓는 방법도 많이 달라요~
환경에 따라 집을 짓는 방식과 활용법이 다르다는 걸
우리 아이들도 쉽게 비교하며 이해할 수 있을것 같아요~
우리아이들처럼 책을 통해 한국의 많은 아름다운 문화유산을
졸자야도 많이 배우고 공부했으면 좋겠어요~
흥겨운 민요를 듣고,감상하고 즐길 수 있는 꼬마다글리< 한국문화편 >
한복 입은김에 풍년가에 맞춰 춤을 가르쳐주려는 언니와
폼을 잡아보는 동생의 동영상을 담아봅니다. ㅋㅋㅋ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928/pimg_73961413879054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