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트] 키메라의 땅 1~2 세트 - 전2권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김희진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8월
평점 :
베르나르 베르베르 / 키메라의 땅
"이 이야기는 당신이 이 책을 펼치고 읽기 시작하는 순간으로부터 정확히 5년 후에 일어난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베스트셀러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키메라의 땅 유전공학과 인류 진화를 토대로, 포스트 휴먼이 주도하는 새로운 문명의 서막을 그린다.
이야기의 시작은 특종을 노린 마르티네스 기자가 자연사 박물관 연구소에 잠입해 기묘한 생명체를 목격한 데서 비롯된다. 이로써 진화 생물학자 알리스 카메러의 비밀 프로젝트가 세상에 공개된다.
멸종 위기에 대비해 현인류 사피엔스 를 보완할 세 종의 혼종 신인류 창조.
인간과 동물의 DNA를 결합해 지구 환경에 최적화된 키메라를 만드는 이 실험은, 하늘 땅속 바다에서 생존할 수 있는 신인류 혼종을 만드는 것. 그러나 인류 보존이라는 대의에도 불구하고, 인간과 동물 유전자 결합을 거부하는 세력의 거센 반발이 이어졌다.
위협이 커지자 알리스는 프랑스 연구부 장관 뱅자맹 웰스의 도움을 받아 국제우주정거장으로 피신했고, 그곳에서 은밀히 연구를 이어갔다. 하지만 지구에서는 3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핵전쟁으로 인류는 사실상 종말을 맞게 된다.
살아남은 것은 극소수의 구인류뿐이었다. 방사능과 붕괴된 생태계, 기후 재앙, 그리고 자원 부족이 남은 인류를 점점 몰아세웠다. 이런 암울한 미래 속에서 우주에 고립된 알리스는 생존의 기로에 서지만, 고농도의 방사능에도 생존할 수 있는 세 종의 키메라 배아를 품고 지구로 돌아오는 데 성공한다. 그리고 폐허가 된 땅 위에서 키메라들은 서서히 성장하며 자신들의 서식지를 구축한다.
폐허 속에서도 피어나는 생명과, 그 생명들이 서로를 이해하려는 작은 손짓이 이 소설의 가장 빛나는 부분이었다. 인간이라는 종이 가진 오만함을 날카롭게 지적하는 대목이 많았고, 흥미롭게도 이 이야기가 꼭 먼 미래만을 배경으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핵전쟁, 기후 위기, 식량 부족, 종의 멸종은 이미 뉴스에서 매일 접하는 현실이기에, 작중 키메라의 탄생 과정 역시 그리 비현실적으로 느껴지지 않았다. 그래서 이 작품은 과학 소설이라기보다, 미래 시뮬레이션에 가까운 작품으로 다가왔다.
#열린책들 @openbooks21 #도서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