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햄릿 ㅣ 꿈결 클래식 2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백정국 옮김, 김정진 그림 / 꿈결 / 2014년 9월
평점 :
햄릿
문제적 인간 햇림이 던지는 존재에 대한 질문
'사느냐 죽느냐 , 그것이 문제다.'
셰익스피어 4대비극 햄릿, 오셀로, 맥베스, 리어왕 중 헴릿을 읽었다.
어떤내용의 이야기인지는 알고 있지만 읽어보진 못해서 이번에 읽게 되었는데 정말 비극이다.
내가 읽은 책은 꿈결출판사에서 나온 꿈결 클래식 시리즈 중 햄릿이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극작가 셰익스피어.
예전에 고전문학책을 모두 모은책에서 보았는데 셰익스피어에 대한 추측만 가득하지 그가 어떤 삶을 살았고 그에 관한것들이 흔적이 많이 없다는것이다.
너무 많은 지식을 알고 있었기에 그는 위대하고 높은 권위에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을거 같다. 그래서 셰익스피어라는 이름으로 동시대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이 진짜 셰익스피어라는 추측도 있었던거 같다.
그는 모든것을 알고 있었다. 그가 살았던 세대뿐 아니라 모든시대를 살았던 것이 아닐까 그리고
수많은 직업을 가지고 다양한 경험을 하고
방금 떠올랐는데. 그는 드라큘라!?
그리고 책표지의 얼굴이 셰익스피어의 모습인지도 알수가 없다는 것이다.
햄릿의 배경은 덴마크이고 주인공은 덴마크의 왕자 햄릿이다. 살해 당한 아버지에 대한 복수극이다.
등장 인물로는
클로디어스 (덴마크의 왕이자 햄릿의 숙부)
유령 (햄릿의 아버지, 덴마크 선왕의 혼령)
거트루드 (왕비, 햄릿의 어머니, 지금은 클로디어스의 아내)
폴로니어스 (궁정의 최고 중신)
레어티스 (폴로니어스의 아들)
오필리아 (폴로니어스의 딸)
등등...
제 1장 두 파수병, 비나도와 프란시스코 등장
거기 누구냐? 로 첫 1장이 시작된다.
거기 누구냐 이 몇글자로 대단하게도 무대의 시간과 분위기를 알려주고 있다. 책 아래에는 이 문장의 설명이 되어 있는데 대낮에 지붕 없는 극장에서 연극을 관람하던 셰익스피어 시대 관객들은 이 첫 대사로 무대 위의 시간이 밤이라는 것을 알아차렸을 것이며 그 전체의 드리운 팽팽한 긴장감과 불안감을 강하게 함축하는 말이라고 한다.
읽으면서도 느끼는거지만 대사들이 상당히 길고 많다. 연극으로 이 많은 대사를 어떻게 외웠을까 그리구 배우들의 긴대사에 조금은 지루해지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리구 말로 모든걸 표현하고 있어서 각 주인공들의 생각이나 특징들을 읽으면서 생각해 보았던 거 같다.
유령등장에서도 이 유령의 정체는 오랫동안 논란의 대상이였다고 한다. 다른쪽에서는 유령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다고.
낮에는 불길 속에 꼼짝없이 감금되는 일을 살아생전 저지른 더러운 죄들이 모두 불타 정화될 때까지 되풀이해야하는 운명이다.
내 감옥의 비밀을 말하는 게 금지되지 않아 얘기해 줄 수 있다면,
그중 가장 가벼운 말도 네 영혼을 써레질하고,
네 젊은 피를 얼리고, 네 두 눈알을 천구를 이탈한 별처럼 만들고, 네 엉킨 머리 타래를 흩어서...
대사가 무지 길다. 하지만 햄릿의 대사는 더 길다.. 정말 어떻게 연극이 이루어졌는지 연기자들의 연기가 보고 싶어진다.
아버지혼령이 나타나 복수를 해달라고 하는데 내가 햄릿이였다면 복수를 다짐했을까. 정말 저주할만큼 싫어하고 죽기를 바라는 생각도 할 거 같지만..
말이 많기 때문에 어떤행동을 하려는지 생각 또한 읽을 수 있어서 내 생각엔 햄릿은 계획적이고 침착한 사람으로 보인다.
복수를 할 수 있는 순간이 오지만 이자가 천국으로 갈까봐 죄를 지었을때 죽여 지옥으로 보내버리려고 하는걸 보면 인내심과 생각이 좀 깊어 보이기까지 했다.
나라면 원수를 죽이는게 참 무서울거 같다. 내가 죽이지 못하니 또다른 벌을 받게 하고 싶었을거 같다. 단테의 지옥편에 나오는것처럼 이게 더 사악한 생각일까.
아버지가 살해당해 죽은 충격으로 오필리아가 노래를 부른다. 그녀가 오빠와의 대화에서 많은 꽃들이 나오는데 꽃 하나하나는 다 의미가 있었다. 그녀는 후에 물에 빠져 죽게 된다.
왕비는 그녀의 죽음을 낭망적인 표현을 하는데 여기서도 나오는 풀잎이나 나무에도 다 의미가 있다.
거울 같은 물 따라 회백 솜털 이파리 비치는,
수양버들 한 그루 비스듬히 자라는 시냇가.
오필리아가 그 가지에 미나리아재비, 쐐기풀, 들국화, 입 험한 목동들을 더 속되게 부르지만 정숙한 처자들은 '망자들의 손가락'이라 일컫는 자줏빛 야생 난을 엮어 희한한 화관을 만들었지.
...
책 속에는 일러스트도 함께 볼 수 있는데 오필리아의 죽음을 담은 일러스트가 나온다.
존 에버렛 밀레이가 그린 오필리아 에서도 많은 꽃들을 볼 수 있었는데 이 일러스트에서도 예쁘게 그려져 있다. 젊은 여인의 죽음을 꽃 하나하나 의미를 담아 아름답게 표현한거 같다.
죽음의 배경에 나온 꽃들이나 나무들의 의미도 아랫 참고글에서 어떤의미인지 알 수 있어서 좋았다.
다시는 안 오시나?
다시는 안 오시나?
못 오네, 못 오네, 그분은 죽었네.
그분 가신 곳은 죽음의 잠자리.
그렇게 가신 그분 다시는 안 오시네
...
햄릿하면 당연 떠오르는 말 그 유명한 대사가 나온다.
사느냐 죽느냐 이 말을 우리말로 옮기기 가장 난해한 구절 중 하나라고 한다.
그 큰 이유 중 하나는 곧 바로 이어지는 내용이 삶과 죽음을 매우 구체적인 상상 속에서 대비시키고 있는 까닭이라고 한다
사느냐 죽는냐, 그것이 문제다.
변덕스런 운명이 쏘아 대는 돌덩이와 화살을 맞아야 하나,
아니면 고난의 피도에 맞서 무기를 들고 대항하다 끝장을 내야 하나,
어느 쪽이 더 고결한가.
죽는 건 -잠드는 것, 그뿐이다.
잠 한숨으로 육신이 상속받은 고뇌와 피할 길 없는 수천 가지의 불화를 마감한다 한다면,
그건 애써 간구해야 할 귀결이다.
죽는 건, 잠드는 것.
...
존재의 무, 삶과 죽음, 결행과 인내, 행동과 무행동, 사랑과 미움, 권리와 의무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자기 자리를 찾아보려고 안간힘을 쓰는 그의 고뇌를 상징적으로 함축한다.
이 고뇌와 혼란은 우리 인간에게 속한 것이다.
#책#햄릿#꿈결#윌리엄셰익스피어#셰익스피어#4대비극#오필리아#사느냐죽느냐그것이문제다#책추천#책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