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과 땅 식료품점
제임스 맥브라이드 지음, 박지민 옮김 / 미래지향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72년 6월의 어느날 펜실베니아 포츠타운에 자리한 치킨힐 헤이즈 거리 근처의 오래된 우물 바닥에서 경찰은 유골을 발견하면서 이야기는 시작한다. 우물 속 유골의 정체를 알기위해 이야기는 다시 47년전 펜실베니아주 포츠타운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곳에는 유대인 극장 운영자 모셰와 하늘과 땅 식료품점 주인 초나가 있다. 그들을 중심으로 이어진 이민자들과 유대인 흑인들의 삶이 그려진다. 저자는 미국 이민자들과 과거 노예였던 사람들의 차별과 아픔 불합리했던 세상에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 속에서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청각 장애를 가지고 있던 흑인 소년 도도를 정신병원에서 탈출 시키려는 사람들의 적극적인 행동은 불가능이 가능한 현실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성가 시온의 외침 같은 거야. 페르첼 덕분에 우리는 '외침'을 얻을 수 있지."두 사람은 미국은 모든 유대인이 한 목소리를 내는 땅이어야 한다는 그들의 신념을 드러내며 말했다. 가장 아름다운 목소리를 들어서 안될게 뭔가?

이야기를 매력적으로 이끌어가는 인물은 단연 초나다. 한쪽 다리의 불편함은 초나에게는 아무런 제약이 되지 않는다. 초나에게 사람들은 모두가 평등한 인간일 뿐이었다. 얼굴색으로, 계급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사람들과는 달랐다. 그래서인지 초나를 더 응원하고 싶은 마음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고난을 견디고 참아내는 건 인생에 도움이 되는 거야, 아들. 진실은 누구도 해치치 않아. 그 기차에 탄 건 너였다는 거지, 그렇지?"

엄마를 잃고 혼자 남겨진 도도에게 절망의 그림자를 벗어날 수 있게 도와주는 이들이 있었다. 그들 역시 절망의 그림자를 자주 마주 했던 인물들이었다. 네이트와 패티 그리고 초나는 12살 흑인소년 도도를 지켜주는 친절한 어른이 되어 주고 있었다.


아이는 살아있음이 무엇인지, 존재 자체로 보여주었다. 삶에 대한 축배와 같았다. 한 소년. 삶을 살아가는 한 소년. 그녀가 어렸을 때부터 줄곧 원했고 기도했던 것. 그 아이가 흑인라는 것이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아이는 그녀의 것이었다.!

초나는 아이가 필요했고, 도도는 어른이 필요했다. 둘은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고 사랑이 되어 주었다. 소설의 이야기가 펼쳐지고 있는 시대는 인종차별이 심했던 1930년대다. 사람들의 시선에서도 자유롭지 못했을 선택을 초나는 삶에 대한 축배와 같다고 말하고 있다.



'나는 미국인임이 자랑스럽다'라는 의미 없는 깃발을 위해 싸우는 대신 '나는 살아 있어 행복하다'라고 말했어야 했다. 다름이 어디에 존재한단 말인가? 한 민족이 다른 민족보다 우월할 수 없는 이유는, 우리 모두 같은 인류이기 때문이다.

소설의 이야기는 한 사람의 이야기에 멈춰 있지 않았다. 산골마을 치킨힐에 살고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펼쳐지고 있다. 다양한 이야기 속에서 공통적으로 만나는 이야기가 있었다. 그것은 사랑의 연대였다. 얼굴색이 달라도, 종교가 달라도, 태어난 곳이 달라도, 그들에게는 서로를 위로하고 걱정하는 마음은 하나였다.

'다름이 어디에 존재한단 말인가'라고 말하는 소설의 문장은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했다. 편견 속에 갇힌 마음은 여전히 차별이라는 불합리한 시선을 마주하게 한다.

책을 읽으면 읽을 수록 우물에서 발견된 해골의 정체를 밝히는 일은 그리 중요하지 않았다. 끈끈한 사랑의 연대로 이어진 치킨힐 사람들의 이야기가 더 궁금해졌기 때문이다.

#소설#역사소설#하늘과땅식료품점#2024년최고의소설상#재미있는#감동이있는#영미소설#책#서평#미래지향#제임스맥브라이드

<이 소설을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