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향랑, 산유화로 지다 - 향랑 사건으로 본 17세기 서민층 가족사
정창권 지음 / 풀빛 / 2004년 5월
평점 :
절판
향랑, 산유화로 지다 정창권 님의 저서는 요거 하나밖에 안 읽었다. 과거 조명되지 않았던 일반 서민의 삶을 그리면서 당시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책이다. 이런 경향은 요즘 드라마에서도 있는데, 아마도 옛 사람들의 사람살이나 오늘날이나 살아가는 건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인 것같다. 역사를 왕조중심, 사건 중심으로만 다룬다면, 자신이 최고부유층이나 미디어의 중심에 놓인 거물이 아닌 이상 어찌 100% 공감할 수가 있겠는가. 더구나 이 책은 저자가 책의 서술자로 등장하면서 향량이 자살하게 된 계기를 각종 문헌을 들어 역추정하고 있다. 중간중간 향량과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가 들어간 것도 읽기에 즐겁다.
이 책은 이혼과 재혼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오늘날 역시 이 문제에 대한 이야기는 분분하다. 오죽하면 이혼을 했겠는가. 오히려 한번 큰 상처를 입은 사람을 사회는 왜 또 한번 상처를 주는 것일까? 특히 이혼한 여성에게 더 그렇다. 이혼한 여성은 이혼했다는 사실 한 가지만으로도 떳떳치 못하게 되고, 그 여성이 재혼을 할 때는 더 큰 장벽에 부딪혀야 한다. 그리고 재혼해서 전처의 아이들을 키우는 새어머니들은 왜 모두 악마로 묘사되는가? 물론 아이의 입장에서는 새어머니가 자기 엄마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새어머니가 하는 모든 행동이 마음에 들지 않겠다. 아이들이 울면 아이 아버지는 계모라서 내 아이에게 막 대하나보다 하겠다. 하지만 사회는 왜 그렇게 한결같이 한쪽 편만 드는 것일까. 계모의 편에서는 오히려 남의 자식이기에 키우기 힘든 점도 있지 않겠는가.
물론 요즘 경제력을 지닌 여성들은 향량처럼 오갈 데가 없어서 자살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제 외로운 마음을 어디 하나 의탁할 데가 없다면 어떨까? 이혼했다는 이유만으로 친정에서도 자신을 부끄러워하고, 아이들도 이혼한 엄마를 원망하며 떠나가고, 새로운 사랑을 만날 수도 없다면? 여성에 대한 사회의 갖가지 편견이 사라지지 않는 한, 옛날이나 지금이나 다를 것이 없고, 미래도 그리 낙관할 수 없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