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의 종말, 그 너머의 세계
사카키바라 에이스케.미즈노 가즈오 지음, 김정연 옮김 / 테이크원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영국에서 시작된 공업화 산업 혁명 이후로 제 3차 산업혁명인 인터넷 시대까지는 자본주의의 성장도 함께 지속되어 왔습니다. 자본주의의 근본 원동력은 경제가 지속적인 성장을 해야만 그 힘을 발휘하는데, 선진국들의 저성장 국면과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경제력을 키워가는 국가들이 2008년 금융위기를 시작으로 완연한 저성장 국면으로 바뀌었습니다.

 

저자는 전세계적인 저성장 시대가 되면서 16세기의 저이자율이 중세를 끝낸 것과 견주어 21세기의 저이자율이 근대 자본주의를 끝내려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보다 멀리, 보다 빠르게 나아가는 근대 자본주의 모습이 보다 가깝게, 보다 천천히 걸어갈 수 밖에 없는 시기에 들어섰다고 합니다.

 

책은 총 3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자본주의가 끝나가는 내용, 세계 경제와 함께 일본 경제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를 맞는 내용, 자본주의가 어디로 향하는가에 대해 2명의 저자가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 시대의 큰 변화와 앞으로의 인류 발전에 지속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IT가 더 이상 고용증가를 일으키지 못하고, 오히려 자산 가격 상승이나 거품을 일으켜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1인당 실질 임금(생활수준) 추이 그래프에서도 경기후퇴기와 상관없이 1997년을 피크로 계속 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경제성장률을 구하는 요소인 ‘1인당 노동생산성 증감률인구증감률은 인구 감소 현상 때문에 노동생산성을 높여야만 성장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디어로 경제성장률을 높이는 것은 거의 기여하지 못한다고 하며, 인구증가율 정도만이 기여한다고 합니다. , 인구가 감소하는 국가는 제도성장도 힘든 시기가 오고 있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는 비정규직과 관련하여 일본에서도 1990년에 20%대인 비정규직이 2014년에 약 38%까지 근 2배가까이 증가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정규직도 정년까지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과 일자리를 얻기 힘든 고령화 인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영향으로 선진국들도 중산층이 붕괴되고 줄어들고 중하층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 와중에서도 역시 인구가 증가하고 25세 이하의 젊은 인구층이 50%이상으로 많은 인도가 향 후 인구수에서는 물론 성장률에서도 중국을 앞지를 것이라고 합니다. 인도에서 늘어나는 중산층이나 소비층을 위한 교육, 보험, 금융 서비스의 비즈니스와 인도에서의 고급품이 생활 필수품으로 바뀌는 시장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도의 성장에 함께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 인구수가 작고 자원이 없는 한국에게는 또 하나의 기회 중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