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법 지리 - 중학생이 미리 배우는 ㅣ 중학생이 미리 배우는 공부법 1
고경미 외 지음 / 리베르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지리란 과목을 배웠을 때 사회과부도 라는 지도책을 보는 것이 재미있었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기후 지역인 환경들을 암기하는 공부는 왜 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알지 못했던 것 같고 열심히 공부해도
점수의 비중이 적어서 전체 성적의 변화를 크게 느낄 수 없는 과목이었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곳 지구에
대해서 배우는 것이지만 현재 살고 있지 않는 지역에 대해서 글로만 배운다는 것은 단순한 용어나 의미의 해석만으로는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물론 알면 알수록 좋고 몰라도 살아가는데 당장은 큰 영향이 없다고 느껴지기 때문에 시험을 위한 개념 암기만
했던 것이 지리과목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린 것이라 생각됩니다. 지금은 해외여행이 보편화 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해외 지역에 대한 경험이 많기 때문에 오히려 지리책이 더 많이 보강되고 더 많은 정보를 담아야 한다고 생각도 듭니다.
이 책은 6명의 현직 지리교육 교사들이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이해하는데
지리가 어떤 도움을 주는지를 알려 주고자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책을 만들었습니다.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청소년을 위한 지리교양서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 책의 기본 공부법으로 기본 체계를 놓치지
않기, 친숙한 사례로 개념에 접근하기, 풍부한 시각 자료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기 그리고 탄탄하게 마무리하기의 다섯 가지를 기본으로
삼으면 사회와 친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총 12개의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각 주제의 시작부분에는 간략한 요약과 이해를 위한 사진이나 삽화가 볼 수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다시 작은 주제 몇 개로 나뉘어서 있습니다. 작은 주제는 재미있는 사례 이야기를 통해 주제에 의미를
생각해 보면서 시작합니다. 이어서 다양한 환경 조건이나 경우를 가정하여 주요 용어들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코너를 통해서는 분석자료를 소개하거나 자신에 적용하여 생각해
볼 수 있게 하였으며, ‘이야기 속 지리’ 코너를 통해서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이야기나 내용을 통해
주제와 연관된 것을 찾아 보는 시간도 재미를 가미하는 요소였습니다. 대 주제의 마지막에는 ‘한 눈에
정리하기’ 코너에서 빈칸에 단어를 넣어 봄으로서 자연스러운 복습이 되며 내용의 정리가 되게 하였습니다. 또, ‘지리 한 걸음 더’ 코너에서는 현재도 이슈화 되고 있는 우리나라와 세계 여러 지역의 이야기를 소개하는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암기위주의 지리과목이 이렇게 재미있게도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교과서도 이 책과 같이 시대에 맞는 내용과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만들어진다면 학생들이 좋아하고 재미있어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