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아이들 (양장) - 빈부격차는 어떻게 미래 세대를 파괴하는가
로버트 D. 퍼트넘 지음, 정태식 옮김 / 페이퍼로드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예전 미국 사회에서
작용했던 계급 이동의 사다리가 현재의 미국 사회에서 어떻게 사라지게 됐는지와 그 현상이 어떤 효과를 낳았는지에 대해서 가족, 양육, 학교 교육, 공동체의 4가지 주제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공공 정치가인 저자는 이와 같은
조건들은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요소들인데, 가정의 사회경제적 차이는 이들 4가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사회경제적 조건이 출발선상에서
약간의 차이를 만드는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성장하고 살아갈 환경 그 자체를 결정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아이들은 출생과 동시에 서로 다른 세계를 살아가는 것이라고 말하며 현 시대는 아메리칸 드림은 없다고 언급한다. 똑같은 공교육을 받으며, 부모의 관심과 학교의 보호속에서 평등한
교육을 받고 있다고 생각을 하며, 경제적인 조건은 조금 유리한 위치에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 나의 관념을
한 번에 깨뜨리는 내용들이다.
저자는 고향인 포트크린턴의 1950년대 계급격차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하고 있다. 그 당시 계급간의
빈부 격차는 있었지만 계급간의 이동이나 공동체 생활 등에서 큰 차이점이 없음을 경험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또한, 2010년대의 바뀐 경제상황과 공동체의 모습을 이어서 설명하고 있다. 이런 이유에 대한 가족, 양육, 학교 교육, 공동체에
대하여 다양한 자료를 이묭 및 분석하여 설명하고 있다. 또한,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현재의 교육 현실에 대한 상황을 이해하기
쉽게 이끌어 가고 있어서 어려운 자료에 대해서도 편하게 읽어 나갈 수 있었다. 민주주의 국가이자 모든 사람의 평등을 주장하는 미국에서 조차도 평등의 시작점인 교육에서 불평등한 기회가
시작된다는 점. 이러한 냉혹한 사회로부터 소외된 사람들의 미래에 대한 예기치 못한 정치 경제적 상황에
대해 저자는 고민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유와 이기주의가 아닌 민주주의를 유지하기 위한 미국의 정책에
대해 우리도 관심을 가져야 될 것 같다. 그들 보다 더 심각한 교육열과 부모의 경제적 영향력을 볼 때
우리나라도 미래적 관점에서 미리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지금의 어른 세대들이 학생시절만
하더라도 친구의 부모님께 새해 인사를 다니고, 동네 어른들을 대부분 알면서 함께 생활하였던 시절임이
틀림없었다.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이웃에 일이 생기면, 서로가
함께하는 공동체 속에서 성장하였다. 현재는 비슷한 경제규모의 사람들끼리 정보를 주고 받으며, 아이들의 친구 사귀는데도 부모들이 간섭과 통제를 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경제
차이로 인하여 사교육의 노출 빈도와 수준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부자집 아이들이 더 유리한 학습 효과를
누릴 수 있는 혜택임이 틀림없는 사실이다. 이 점은 사람들이 교육에 대한 부담이 크기 때문에 문제점으로
대부분 인식을 하지만, 부자들은 그들만의 유리한 조건을 문제로 인식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해결을 위한 접근은 의미가 없는 듯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