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개의 미생물, 우주와 만나다 - 온 세상을 뒤흔들어온 가장 미세한 존재들에 대하여
플로리안 프라이슈테터.헬무트 융비르트 지음, 유영미 옮김, 김성건 감수 / 갈매나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미 일상생활에 함께하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하여 미생물에 대한 관심이 많이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높아진 관심에 비하여 실제로 지식이 늘지도 않았고 좀 더 깊이 공부해 본 적도 없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 미생물에 대한 상식을 쌓을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100개의 미생물에 대하여 크게 네 부분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책의 앞부분에서 100개의 미생물은 세균이 29, 고세균이 23, 진핵미생물이 23, 바이러스가 24개를 다루고 있다고 합니다. 목차에 있는 어려운 이름의 수 많은 미생물 중에서 처음으로 알아보는 미생물이며, 한국인에게 많다고 하는 펠리코박터 파일로니가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습니다. 이 세균은 인류와 가장 오랬동안 함께 했기 때문에 350여 개의 변종을 통해 인류의 이동 경로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염증, 위궤양, 만성위염 및 위암을 일으키는 이 박테리아는 긴 역사만큼 전세계 인구의 절반 정도가 보유하고 있지만, 아직도 장기적으로 효과를 발휘하는 백신이 나오지 않았다는데 놀랐습니다.



또 하나 눈에 들어온 것은, 태초의 지구상에서 어떻게 생명체가 나타났는지는 아직도 의문입니다. 그런데, 자연에는 존재하지 않고 실험실에서 만들어진 미코플라스마 라보라토리움이라는 박테리아가 있다고 합니다. 게놈이 가장 작은 미코플라스마 제니칼리움이라는 세균에서 생명에 필수적인 유전자만을 찾는 연구를 통해 게놈을 인공적으로 합성하여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실험실에서 만들어진 합성 박테리아지만 스스로 증식도 가능한 살아있는 박테리아라고 합니다. 하지만, 생존에 필요한 최소 게놈임에도 불구하고, 어디에 사용되는지 알지 못하는 유전자가 아직도 아주 많다고 합니다. , 생명이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는지는 아직도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어려운 박테리아 이름만으로는 외우기도 힘든 미생물이지만, 각각의 설명을 통해 동식물에서 볼 수 없는 신기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마치, 상상 속의 이야기나 공상 과학 영화에 나올 법한 이야기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인류와 함께 할 수 밖에 없는 미생물의 신비한 세상을 만날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