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하는 뇌, 망각하는 뇌 - 뇌인지과학이 밝힌 인류 생존의 열쇠 서가명강 시리즈 25
이인아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세계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고, 우주망원경으로 먼 우주의 모습까지 볼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과학 기술의 발달을 이끌어 온 인간의 뇌에 대해서는 모르는 것이 너무 많습니다. 인간의 신체에 대한 의학 기술도 발달하면서 신체의 많은 부분에 대한 치료 기술이나 약이 개발되었지만, 뇌 질환에 대해서는 상당히 미진하다고 생각됩니다. 이렇게 모르는 것이 더 많은 뇌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학습하고 습득하는 능력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학습한 것 중에 일부는 망각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뇌의 이러한 기능에 대해서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교수님의 명강의를 이 책을 통해 만나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뇌가 학습하고 기억과 관련된 기능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습니다. 뇌는 책과 같이 쓰여지거나, 컴퓨터 저장장치처럼 기록되지도 않는데, 어떻게 기억을 하게 되는지 궁금하였습니다. 책에서도 이 부분은 밝혀진 것도 많지만 아직 과학적으로 밝혀지지 않은 것이 더 많다고 합니다. 뇌를 구성하는 것은 몸을 구성하는 것과 같이 가장 기본이 되는 세포입니다. 이 세포들은 속해 있는 신체 부분에 최적화된 기능을 하도록 진화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뇌세포는 다른 장기의 세포들과 모양과 기능이 상당히 달라서 뇌세포 대신 뉴런(신경세포)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뉴런들은 신경망으로 연결되어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데, 뇌에서 서로 다른 뉴런들은 물리적으로 접촉 하지 않고 시냅스라는 전기신호를 화학신호로 변화시켜 전달한다고 합니다. 말단 부분의 축색돌기, 신경전달물질 등의 용어가 등장하고 신호 전달 과정과 변화를 통해 학습과 기억에 관여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5센티미터 길이의 해마는 경험하고 기억하는 일생의 기록관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저자는 쉽게 모든 일을 촬영하여 필름이나 파일로 남기로 나중에는 편집해서 한 편의 영화로 저장하는 영역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해마는 효율성을 추구하여, 필요한 정도까지만 기능을 구현하고 불필요한 정도로 자세한 정보까지는 기억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필요한 기억을 빨리 찾기 위해서 또는 현재 순간적으로 벌어지는 찰나의 장면을 순간적으로 핵심 정보를 포착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정보를 다 기억하지 않고 핵심 정보만 남기게 발달되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해마의 기억은 불완전한 정보라고 합니다.


역시 서가명가 답게 어려운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물론, 뇌에 관련하여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생소한 용어가 있겠지만, 책의 앞부분에 있는 용어를 미리 읽어 보신다면 책의 전반적인 내용을 쉽게 이해하리라 생각합니다. 역시, 뇌는 아직 신비의 세계라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었고, 반대로, 너무나 많은 것도 밝혀냈었고, 알아 가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