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리주의 ㅣ 현대지성 클래식 31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6월
평점 :
공리주의란 말은 어디선가 들어본 적이 있는 익숙한 용어이지만, 무엇인지
설명하라고 하면 쉽게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영국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로 유명한 존 스튜어트
밀은 국부론을 비판하고 사회주의 사상과 자유주의 정치철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또한 대학의 학장이나
런던에서 하원의원으로 활동하는 모습도 보여주는 행동하는 사상가로도 유명합니다.
먼저 공리라는 단어는 효용이나 유용을 의미합니다. 보통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공리주의라고 합니다. 여기서의 행복은 어떤 의도된 쾌락이며 고통이 없는 상태라고 합니다. 즉, 공리주의의 기본 전제는 쾌락과 행복을 말합니다. 책에서는 인간의 본성이 동물의 본성과 같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에피쿠로스주의자들이
말하는 쾌락은 동물의 쾌락과 다른 것이라고 합니다. 인간에게는 동물적 욕구보다 훨씬 고상한 기능이 있으며
이런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한 상태는 행복이라고 여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동물과 다른 쾌락이라고 한다면, 고상한 쾌락과 저급한 쾌락은 어떤 기준으로 구분이 되어야 하는지고 궁금합니다.
책에서는 정신적 쾌락 뿐만 아니라 신체적 쾌락에 대해 상세히 언급하고 있으며, 특히, 이를 구별하고 최종 판결을 내릴 수 있는 재판관은 이 두 쾌락을 다 아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부분에서 공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속담이 있듯이 공리주의가 말하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서 개인의 행복과 사회 전체의
행복을 생각해 보게 됩니다. 현실에서도 주변 지인이 대박이 나거나 큰 성공을 거두에 되면, 나에게는 변화가 없음에도 상대적으로 지인은 행복해 보이고 나는 불행해 보이는 감정을 느끼곤 합니다. 이런 불행이 생기지 않게 하려면, 공리주의에서는 사회 전체의 고상한
성품을 전체적으로 향상시켜야만 사회나 온 세상이 행복해 질 수 있다고 합니다.
책을 읽으면서 개인과 다수의 절대행복과 관련하여서는 과거나 현재나 명확한 결론을 내리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공리주의나 그 반대의 주장들 모두에서 현실적인 상황과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위대한 사상가의 뜻을 한 번에 이해할 수는 없겠지만, 공리주의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