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온한 것들의 미학 - 포르노그래피에서 공포 영화까지, 예술 바깥에서의 도발적 사유 서가명강 시리즈 13
이해완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를 담은 서가명가 시리즈의 13번째 책입니다. 이번 책에서는 분석미학자이며 서울대학교 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신 저자가 전하는 불온한 것들의 미학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미학은 미와 예술을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을 뜻합니다. , 인간의 가치, 삶의 의미를 성찰하고 문화와 세계를 조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합니다. 이성에 해당하는 철학적인 부분과 감성에 해당하는 예술적 부분의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 이 학문의 매력이라고 합니다.


이번 책에서는 위작, 포르노그래피, 나쁜 농담, 공포 영화의 네 부분으로 구분하여 그 속에서 철학과 예술에 대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습니다. 미학과 관련된 주요 키워드를 책의 서두 부분에 있으니, 먼저 그 의미를 파악해 두시면,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여러 이야기가 있지만, 항상 예술이나 외설이냐를 두고 논란이 되고 있는 포르노그래피의 예술과 도덕에 대한 내용이 재미있었습니다. 책에서는 이런 논란이 있는 곳에 철학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일본이나 서양에서는 성적인 산업이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고 그 수요와 인기는 항상 존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음지나 비공식적으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외설적인 문화로 더 많이 인식되어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영화나 방송을 보더라도 과거 앞 세대 보다 많이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며, 지금은 별 문제가 되지 않아도 과거에는 큰 외설로 간주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저자는 포르노그래피의 규제에 대한 찬반 양론이 항상 존재하고, 비슷하지만 도덕적인 것과 아닌 것도 있으며, 예술로 보는 기준은 무엇이며, 진정한 성을 표현하는 것 등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책에서는 철학적 잣대와 도덕적 잣대를 기준으로 각각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외설과 예술은 구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그 범위가 조금씩 바뀔 뿐이지, 영원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또 다른, 이야기 중에 비도덕적 농담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인종 차별적이거나 여성 비하적인 농담에 대해 민감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성을 비하하거나 성희롱에 대한 관심이 압도적으로 높다고 생각됩니다. 이것은 윤리적인 관점에서 이지만, 미학적인 관점에서는 이런 농담들도 충분히 유머의 소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미적, 예술적으로 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지인들과의 모임이나 직장이나 단체에서의 대화 중에 언제나 논쟁이 되고, 결국 정답을 찾지 못하였던 주제에 대해서 더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인의 생각을 바꿀 수 없을 것이며, 각 개인의 생각에는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된 시간이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