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틸리 서양철학사 - 소크라테스와 플라톤부터 니체와 러셀까지
프랭크 틸리 지음, 김기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3월
평점 :
어린 시절에 철학자라고 하면, 엄청나게 공부를 많이 하여 세상의 모든
지식과 만물에 대한 이치를 모두 아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철학자들에 대한 책이나 세계 위인전집 같은 책을 통해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번번히 중도에 읽기를 포기하거나, 완독을 하여도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되지 않았던 기억이 납니다. 성장을 하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줄 알았지만, 오히려 반대로, 알면 알수록 더 어렵게 느껴졌습니다.
위대한 한 분 한 분을 일일이 만나기 전에 서양 철학의 큰 흐름을 먼저 이해한다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책에서는 총 22장의 서양 철학사를 다루고 있으며, 크게 그리스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철학이란 인간의 경험 세계를 이해하게 하려는 노력의 일부이기에 각 시대의 문화, 철학자의 인격, 그 이전까지의 체계에 영향을 받았고 정치적, 도덕적, 사회적, 종교적
요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이 있듯이 과거를 통해 배우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미 누군가에 의해 다루어진 철학을 이해하는 것은 자신의
세계관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소크라테스가 있습니다. 2천년 동안 서양
문명을 지배하고 현재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는 위대한 철학자입니다. 조각가 아버지와 산파인 어머니를 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고, 아버지의 직업을 물려받았다고 합니다. 그는
어디서든지 다양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고 토론하는 습관이 있었고, 논거에서 오류를 신속히 발견하며, 문제의 핵심을 찌르면서 대화를 주도하는데 능했다고 합니다. 또한, 자신이 가르친 덕목을 행동으로 보여주었고, 관대하고 대단한 인내심을
가졌다고 합니다. 소크라테스에 대한 기록은 스스로 전혀 글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 그이 제자인 플라톤을
통해 서양 철학의 발전에 영향을 준 독특한 인물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소크라테스와 그의 대변가인 플라톤의 이론을 구별하는 것은 현재도 어려운 문제이므로, 두
사람의 철학을 구별하기 보다 긴 시간 동안 함께 이해하는 편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책에는 최근의 실용주의 실증주의에 대한 내용까지 긴 서양 철학의 역사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처음부터 일독으로 이해할 것으로 기대는 안 했지만, 의외로 어렵지
않게 이해되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한 사상을 깊이 들여보기전에 멀리서 큰 흐름이나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느꼈습니다. 우리의 인생도 가끔씩 한 발짝 떨어져서 긴 호흡으로 바라보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 시간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