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농경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ㅣ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나카오 사스케 지음, 김효진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5월
평점 :
우리나라가 2차산업을 중심으로 국가 경제를 이끌어 가고 있지만, 한 세대 전만해도 농업이 중심이었던 국가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농어촌을 떠나고, 지금은 대부분이 중년이나 노년층이 농업에 종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농업에 대한 관심이나
지식이 부족하며, 대부분의 상식은 언론이나 책을 통해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류는 수렵생활에서 벗어나 농경생활을 시작하면서 문화가 발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인간의 대부분 활동이 식량 확보였으며, 종교나 전쟁도 식량을 더
많이 확보하려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합니다. 이 책의 저자는 이러한 농업을 문화로서 바라보았고, 농기구나 농경 기술과 같은 문화가 어떻게 전파되고 발달하며 변천되어 왔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책에서는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재배식물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다양한 농경문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책의
본론에 들어가지 전에 머리말 앞에 있는 각 농경문화의 주요 작물에 대해 미리 확인해 두면 전체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자연의 식물인 야생종이 아닌 재배종은 인간이 수천 년 동안 개량하고 발전시킨 결과물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농경문화의 문화재는 농기구나 농업기술 보다 살아 있는 재배 식물과 가축의 품종 등이 더 중요하고 가치있다고
말합니다.
전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과일인 바나나에 대해서도 새로운 내용을 알게 되었습니다. 생산량이 모든 과일중에 가장 많으며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고 합니다. 야생종인
무사에는 종자가 가득 들어있지만, 우연히 변종을 골라 심고 보호하는 계기를 통해 재배종으로 우량화하면서
무종자 과실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과정을 인류 최초의 농업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
근대에 해당되는 신대륙 농경문화 복합체에서도 전반적으로 구대륙 농경문화의 발생 및 발전 모습의 일부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구대륙의 근재 농경문화, 사바나 농경문화와 대응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발달했지만, 지중해 농경문화와는 대응 현상이 없었다고 합니다. 신대륙인 아메리카의 지역별 농경문화의 발달과정이나 특징도 알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농경문화와 해당 지역별 재배 작물과 함께 알려주는 이야기는 단순히 개량되고 발전된 작물이라는 개념을 넘어 인류 역사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농경문화에 대해 심도 있는 지식을 배울 수 있었던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