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의 반격 - 이미 시작한 인류 재앙의 현장
비에른 로아르 바스네스 지음, 심진하 옮김 / 유아이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전세계에서 다양한 형태의 이상 기후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해수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기존의 주변 해역 분포하던 어류들의 변화가 생기고, 육지에서도 보다 따뜻한 기후에서 존재하는 식물들도 자라게 되는 등 생태계에서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과 함께 또 하나의 위험한 것은 빙하가 녹는 것입니다. 우리는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의 온도가 올라가고, 북극곰과 같은 극지방의 동물들이 멸종한다는 정도는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빙하가 녹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정한 위험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빙하와 관련하여 보다 넓은 지식을 만날 수 있을 것입니다.

책 속에서 가장 놀라운 부분은 마지막 부분에 다룬 내용이었습니다. 극지방 뿐만 아니라 북반구의 거대한 육지에도 영구동토층이 있습니다. 여름철에도 땅이 완전히 녹지 않는 곳을 말합니다. 이 영구동토층이 녹을 때 산의 경사면에서는 큰 규모의 산사태가 일어나기도 하며, 바다로 무너져 내릴 때는 쓰나미 같은 현상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이곳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이 미생물은 지구의 기후에 영향을 주는 탄소 농도를 조절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과거부터 살았던 수 많은 동식물이 이산화탄소 형태로 탄소를 흡수하였고, 이 페기물들은 토양 속에 축적되어 있다고 합니다. 위와 같은 툰드라 지역인 러시아 야말반도와 주변의 섬에서 직경 1미터 정도의 거품들이 땅바닥에서 솟아오르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땅을 밟았을 때는 마치 젤리를 밟는 것 같다고 합니다. 이 거품 속의 공기에는 대기 보다 200배나 많은 메탄과 20배나 많은 이산화탄소가 있다고 합니다. 이런 성분 때문에 언제든지 폭발 할 수 있고, 폭발시에 크리에이터를 만들며 폭발 굉음은 100km 밖에서도 들을 수 있을 정도라고 합니다. 이 후 이런 메탄가스의 방출은 북미에서도 관찰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영구동토증의 상단 3미터 정도 밖에 안되는 지역에 대기보다 훨씬 많은 탄소가 있다고 하는 사실에 깜짝 놀랐습니다. 향 후 100년 내에 영구동토층의 3미터 정도가 녹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메탄은 가스 하이드레이트라는 얼음의 형태로 되어 있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친환경 연료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석연료의 대체제로 연구가 활발하다고 합니다. 이러한 가스 이외에도 탄저균과 같이 역병이 다시 부활하여 피해를 줄 수 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자는 극지방과 가까운 빙권 국가인 노르웨이 출신이기에 빙하에 대한 연구 못지않게 빙하, 눈폭풍, 폭설과 함께 하였던 삶 자체에서 변화를 피부로 느꼈을 것입니다. 눈을 항상 볼 수 있는 떠다니는 빙하와 빙하가 긁고 지나간 흔적과 함께 하면서 빙하에 대한 관심이 자연스럽게 연구로 바뀌었고, 빙하의 변화를 통해 지구의 위험을 알리는 역할을 하게 되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저자를 통해 극지방과 그 이외의 지역에 분포하는 빙하의 과거에서 현재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었고, 동식물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고 받았는지도 알게 된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