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 138억 년 전 빅뱅에서 시작된 별과 인간의 경이로운 여정 서가명강 시리즈 9
윤성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를 담은 서가명가 시리즈의 최신간입니다. 이번 책은 자연과학의 하나인 천문학에 대해 서울대학교 윤성철 교수님의 강의를 만나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책의 내용은  서울대학교 교양과목인 ‘인간과 우주’ 수업 내용을 총 4부로 구성하여 만든 서가명가 강연에 근거하여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교양 과목인 만큼 천문학을 입문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고 합니다.

 

책의 서두에서는 우리가 헷갈리지 않도록 항성과 행성에 대한 용어 설명을 먼저 해 두고 있습니다. 과거에 우리가 사용했던 의미와 달리 영어권의 번역하는 과정에서 영어권의 개념이 더 널리 퍼졌기 때문에 영어권을 기준으로 정의한다고 합니다. 하늘에서 그 위치가 변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붙박이별이라고 하며 항성이라고 불렀고 영어로는 스타에 해당됩니다. 화성이나 목성처럼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듯 보이는 떠돌이별은 행성이라고 불렀고 영어로는 플래닛이라고 합니다. 이제 별과 행성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변화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별이지만, 지금도 우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진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합니다.

 

빅뱅우주론이 나오기 전의 오래전인 고대인들이 신의 영역으로 생각하였던 천구에 대해서 플라톤의 이데아 사상이 영향을 주는 시대부터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플라톤의 우주는 지구가 중심이고 그 밖은 물, 공기, , , 수성, 금성, 태양, 화성, 목성, 토성, 별들이 박혀 있는 천구의 순서로 배치되어 지구 주변을 공전하는 것입니다. 이 후 많은 과학적 발전이 있었지만, 오랜 시간 동안 천동설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이론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책의 후반부에 있는 가장 최신의 이야기가 흥미로웠습니다. 지구는 행성입니다. 에너지 관점에서 행성은 태양과 같은 별의 영역에서 공전을 하면서 에너지를 받습니다. 행성의 식물은 태양에너지를 받아 일부를 녹말에 저장하고, 동물은 식물을 섭취하여 또 다른 에너지 형태로 저장을 합니다. 인간은 이러한 동식물을 섭취하여 에너지를 얻는 것인데, 이는 다양한 형태로 저장된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는 과정이라는 것입니다. , 인간은 별빛을 먹고 사는 존재라는 것을 처음 깨닫게 되었습니다. 태양의 소중함을 알고 있었지만, 빛을 먹고 산다는 것을 처음 깨닫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천문학이 마냥 지구 밖의 신비한 우주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의 삶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정말 신기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