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 - 기울지도 치우치지도 않는 인생을 만나다 ㅣ 내 인생의 사서四書
신정근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어디 선가 본 기억이 있는데, 조선 시대에 공부를 하는 순서로 소학, 대학, 논어 다음으로 중용을 읽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중용은 글자 수가 3500여 자로 논어에 비하면 분량이 3분의 1 정도입니다. 신정근
교수님의 베스트셀러였던 전작이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과 시간차이로 10년이 날 만큼 중용을 배우는데 많은 준비가 필요한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나이가 제법 든 50대에도 뭔가 배워야 할 것이 있다는 것에는 동의합니다. 저자는 50대는 몸이 서서히 애를 먹이는 시기이므로 조금 있다가
생각해보고 답을 한다며 새로운 일의 시작을 주저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저자는 50대 중반이 되었지만, 나이가 50대가 된다고 생각도 50대가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차리게
될 만큼 굳이 50대와 중용이 연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스로에게
의문을 품고 실마리를 찾았다고 합니다. 하나가 중용이라는 책이 극단의 시대에 삶의 중심잡기와 관련이
되어있고, 다른 하나는 대충 고민하다가 어물쩍하게 타협하는 결론이 아니라 치열하게 고민하고 인간의 한계
안에서 내리는 최선의 결론을 나타내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책에서는 총 60가지 주제로 나눈 뒤 각 5가지씩 12개의 범주로 묶어 12강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12강은 극단, 발각, 곤란, 단순, 중심, 균형, 중용, 진실, 정직, 효성, 감응 포용이 해당됩니다. 각 강의 시작부분에는 각 강의 주제에 해당되는
내용과 관련된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습니다. 각 주제의 시작부분에는 의미를 반영하는 압축된 한자어를 표현하였으며
중용장구 33장 중에 해당되는 장도 함께 표시하고 있습니다. 주제의
내용에 대한 설명은 현재의 시대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이야기하고 있어서 알려주고자
하는 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구성이었습니다. 또한 책의 사이사이에 한자 원문도 싣고 있어서 한자를
잘 아시는 분들은 함께 공부한다면, 저자의 해석과 다른 자신만의 해석도 해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었습니다.
책 전체를 한 번 읽고 나서는 마음의 중심을 잡히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아니, 한 번 읽고 마음의 중심이 잡힌다면 그것이 더 이상하지 않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용이 너무 방대하고 수준이 있기 때문에 시간적 여유를 두고 여러 번 반복하여 마음으로 읽어야 할 책이라고
느껴졌습니다. 현재 50을 바라보고 있지만, 이 책을 통해 지금까지 생각해 본 적이 없었던 글들도 만날 수 있었던 것은 행운이라 생각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