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년 후 당신의 일자리가 사라진다 - 2025년 나는 무엇을 하며 살고 있을까
강규일 지음 / 책들의정원 / 2019년 8월
평점 :
품절
4차 산업혁명이 진행중인 지금, 많은
사람들이 기대와 함께 우려하는 마음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과거 산업혁명에서는 일부의 일자리의 상실에
대한 것이라면, 현재는 예측할 수도 없을 만큼 많은 직업들이 미래에도 존재할 수 있을지 걱정이 되고
있습니다. 더욱이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지 명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어떤
대처를 하고 준비를 해야 할 지 모른다는 것이 더욱 불안감을 키우는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 로봇, 5G 등으로 인해 사라지는 일자리와 새로 창출될 일자리가
무엇인지를 이 책을 통해 알아보고, 미래의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준비를 하는데 힌트를 얻을
수 있을것입니다.
책에서는 총 20개의 이야기를 5개씩
네 분류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중국에서만 800만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산업이라고 합니다.
현재의 5G 기술력으로도 VR과 AR의 시장규모가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하며, 우리나라도 이를 위한
기반 시설과 관련 인력 양성이 필요할 정도라고 합니다 4G의 속도한계를 넘는 다는 것은 데이터 송수신이
빠른만큼 딜레이가 거의 없어지는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실시간 작동이나 판단이 필요한 자율주행이나 원격수술과
같은 분야가 발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 다른 유망직업에 오른 환경,에너지 전문가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습니다. 화석연료로 인한 환경 오염의 문제에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플라스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유망직업으로 환경공학자, 신재생에너지 전문가의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입니다.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수소에너지 뿐만 아니라 태양광, 수력, 풍력 에너지는 물론이고 폐기물에 대한 연구, 개발자, 엔지니어는 더욱 필요로 할 것입니다. 이는 한 나라의 목표가 아니라
전세계의 목표이자 국제적인 규제를 통해 강제화 하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대한민국에서 공부 좀 한다는 학생이나 그 부모들은 지금까지 의사라는 직업을 많이 선호하였기에 미래에 대한 직업
전망에도 관심이 많았고 궁금하였던 부분이었습니다. 미래에는 의료기기가 발달하고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의
개념이 있어도 의사는 필요하다고 합니다. 단지 병원에서 여러 가지 지원 업무를 하는 분야에서는 사라지는
직업들은 있을 것이고, 반대로 줄기 세포를 이용하거나 의학용 3D 프린터로
신체 조직을 만드는 일은 더욱 늘어날 것입니다. 또한, 웨어러블
기능으로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들을 24시간 관리하거나 24시간
원격으로 실시간 진료가 가능한 헬스케어 시장의 성장도 기대가 됩니다.
새로운 기술로 기존의 직업이 사라지는 분야가 존재함과 동시에 새로운 기술과 관련된 직업도 창출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만, 현재의 학생들이 공부를 하고 사회에
진출할 시점에 어느 정도 기술이 발달하여 어떤 직업군의 인력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 책은 인생 후반기를 준비하는 기성세대 뿐만 아니라 미래의 일꾼이 될 학생들까지 모두 읽어 보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