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덕후 사전 2 : 덕후력 강화 - 인류 달 착륙 50주년 특별 기획 우주 덕후 사전 2
이광식 지음 / 들메나무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천문과 우주에 대한 덕후로 살아오면서 한국 최초의 천문잡지인 ‘월간 하늘’을 창간하기도 하고, 원두막 천문대라는 개인 관측소까지 운영하고 있고, 전국의 학교나 기관에서 우주 관련 특강을 하고 있는 대한민국 최고의 우주,천문 과학 저술가가 만들었습니다. ‘우주 덕후 사전’은 두 권으로 출간하였으며, 태양계와 행성 및 혜성을 다룬 기초 편과 별, 성운, 성단, 은하, 은하수, 블랙홀, 화이트홀, 빅뱅, 우주론, 우주여행, 외계인에 대한 내용을 다룬 강화 편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 책은 그 중에 강화 편에 해당됩니다.

 

 

 

 

학교에서 과학을 배울 때는 지구과학이라는 과목으로 배웠던 기억이 납니다. 지구에 대해서 깊숙이 탐구를 하고, 태양계 정도까지 공부하였던 것이 대부분이었던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 책에서 언급한 내용들은 천문학을 전공하거나, 저자처럼 우주, 천문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공부하였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주에 대한 관심은 저를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이 조금씩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책의 내용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책은 총 100개의 내용에 대해 7개의 챕터로 구분하여 질문과 답변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많은 내용들이 알 듯 하면서도 몰랐던 내용들이어서 무척 많은 지식을 쌓는 시간이었습니다. 그 중에 지인들에게 간단히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흥미가 있었던 내용 두 가지가 있었습니다. 우리의 태양 같은 항성의 진화 끝에는 백색왜성이 된다고 합니다. 이 백색왜성 중에 900광년 떨어진 물병자리에 위치해 있고 110억년의 나이를 가진 지구만한 크기의 다이아몬드로 구성된 것으로 예상되는 별이 있다고 합니다. 겉은 2700도 정도로 뜨겁고 속은 차가운 대부분 탄소로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모든 별들이나 천체들이 소리를 낸다고 합니다. 소리의 형태가 전파이기 때문에 이 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전파망원경과 전파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NASA에서는 특수장비를 이용하여 모은 전자기파를 인간이 들을 수 있게 변환하는 작업을 실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리는 그리 특이하지 않습니다. 별의 소리는 방송이 송출되지 않은 TV와 비슷한 잡음처럼 들리거나 수분간 변화 없이 들리거나, 해안의 파도 소리나 바람 소리처럼 들린다고 합니다. 지구의 소리는 고통스러운 소리를 듣는 느낌이고, 목성의 소리는 장엄한 느낌을 주는 소리가 지속적으로 들린다고 합니다. 이 소리는 유튜브를 통해서도 만날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저자가 큰 형님에게 우주 덕후 씨앗을 받았고, 그 씨앗을 누군가에게 전달하기 위해 열심히 덕업일체의 삶을 살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너무 부러운 삶을 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책을 통해 새로운 천문, 우주 덕후가 탄생한다면 저자는 무척 행복할 것입니다. 혹시, 그렇게 되지 않더라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최신의 연구 자료와 사진들을 찾아서 쉬운 글로 지식을 전달하고 있기 때문에 우주, 천문학의 대중화에는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가 됩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