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인욱의 고고학 여행 - 미지의 땅에서 들려오는 삶에 대한 울림
강인욱 지음 / 흐름출판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먼저 고고학은 주요 연구대상이 인류이기 때문에 지질학이나 고생물학과는 다르다는 것을 언급합니다. 그런 만큼 이 책에 나오는 내용들은 과거에 죽은 자들의 무덤에서 발굴된 무덤이나 유물과 관련된 이야기들입니다. 특히, 무덤은 죽은 자의 주변 사람들이 그를 기념하기 위해 만든 사랑의 표현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과거 사람들이 그 당시 모습을 찾아 낼 수 있는 것이 유물뿐이고, 이 책에서는 수 많은 유물을 통해 과거 사람들을 만나고 느끼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저자는 시베리아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지금은 한 대학의 고고학 교수로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 책의 이야기는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책 속의 주요 내용들은 5만년 전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인류 화석에서 시작하여 가장 최근에 발견된 공산성의 백제 갑옷 및 연천 무등리의 고구려 갑옷까지 담고 있다고 합니다.

 

유물 중에 집 근처에서 발견되는 조개무지는 그 지역의 쓰레기터라고 합니다. 이 지역이 중요한 것은 조개뿐만 아니라 생활쓰레기도 함께 발견되기 때문에 고대인의 생활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소중한 자료라고 합니다. 고고학자들에게 패총 발굴은 힘든 과제 중 하나라고 합니다. 작업이 까다롭고 그 안에서 발견되는 조개껍데기와 생선뼈들을 일일이 분석해야 하는 아주 지루하고 긴 시간이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조개마다 번식하는 수온이 다르기 때문에 당시의 기후를 알 수 있고 당시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이므로 그들의 식성도 알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함께 발견되는 동물뼈 흔적을 통해 식생활 자료도 발견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패총이 나온 지역을 이으면, 그 당시의 해안선을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저자는 고고학은 과거를 밝히기 위해 반드시 과거의 유적을 파괴해야 하기 때문에 역설적인 학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한 번 발굴하면 다시는 되돌릴 수도 없고 유적을 발굴 전처럼 오래 보존할 수도 없기 때문에 발굴 과정에 수많은 도면과 사진을 남기며 신중하게 발굴을 진행한다고 합니다. 발굴을 하지 않으면 과거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없고, 가능한 유물을 보존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발굴로 최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고고학 발굴이 지향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 개발을 위한 과정에서 유적이 불가피하게 파괴될 때 공사에 앞서 미리 유적을 발굴하는 것을 구제발굴이라고 합니다. 한국의 경우 95%가 구제발굴이고, 발굴이 끝나면 건물들이 들어서게 되어 영원히 자취가 없어진다고 합니다. 특히, 지금 논란이 일고 있는 강원도 춘천시 중도의 레고랜드 건설현장은 동북아 청동기시대의 연구에 중요한 비파형검동이 집자리에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무덤이 아닌 사용이 일반화 되었다는 증거 등 수십 년을 두고 천천히 조사해야 할 유적지라고 합니다.

 

이제야, 고고학자들이 유적지에서 발굴하는 속도가 아주 느린 것을 이해할 수 있었고, 한 번에 왕창 발굴하지 않는 이유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보존과 개발, 과거를 알아 가는 것 등 고고학은 그냥 발굴을 넘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으며, 한국 이외에 아시아 지역의 유적을 접하게 된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