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붕괴 - 금융위기 10년, 세계는 어떻게 바뀌었는가
애덤 투즈 지음, 우진하 옮김 / 아카넷 / 2019년 6월
평점 :
세계 금융위기 이후에 많은 것들이 바뀌었습니다. 아무런 이유 없이
미국의 금융회사의 문제로 전세계 무역이 극감하면서 수 많은 국가들이 어려움을 겪으며 경제를 살리기 위해 금리를 낮추고 유동성을 늘이며 생존 경쟁을
하였습니다. 이 사이에 경쟁력이 떨어지는 산업이나 기업들은 생사가 갈리기도 하였습니다. 우리나라도 자본주의 체체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왔지만, 지금은
선진국과 비슷한 자본주의 저성장 체질로 바뀌었습니다. GDP는 높지만 국민의 삶의 질은 떨어지고, 경제가 성장하지 못하지 고용도 불안한 상황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치적으로는 지금까지 세계 경찰을 자처하는 미국이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 된 이후로는 자국우선주의를 표방하며 노골적으로
자국의 이익추구를 우선 목표로 표출하고 외국과의 전통적인 관계까지 깨뜨리는 일을 서슴지 않고 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른 수 많은 나라들도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국수주의가 대두되면서 자국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정권들이 인기를
얻게 되면서 국가간의 경제 전쟁이 한층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단기 일에 끝날 것이 아니기
때문에 2008년 금융위기부터 이해를 하고, 세계가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 책은 이러한 내용은 물론이고
현재의 세계 경제 상황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이 가득 담겨 있습니다. 특히, 저자는 한국처럼 고도로 국제화된 국가들이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와 지정학적 측면에서 세계화의 물결을 어떻게 헤쳐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서로 읽어 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책은 총 24장이 4부로
나위어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브프라임이 원인이 된 금융위기 전의 폭풍전야, 글로벌 역사상 최악의 금융위기, 유로지역의 금융위기 이후의 변화
그리고 전 세계의 금융위기 여파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하였습니다. 이 중에서 금융위기 당시 가장 위기에
몰린 나라가 한국이라고 언급한 부분이 가장 관심이 갔습니다. 한국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수출전문
기업 집단, 재벌, 대규모 제철소, 조선소 및 자동차 공장들이 커다란 고통을 받았습니다. 우리나라와
상관없는 금융위기의 유탄을 받는 불공정한 세상에 살고 있는 것입니다. 저자는 아시아 지역에서 한국만
유별나게 동유럽이나 러시아처럼 취약한 모습을 보였던 것은 한국의 금융시스템이 전 세계와 하나로 엮여 있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당시 한국의 외환보유고는 2400억 달러이고 한국이 보유한 불량
미국 모기지 증권은 1억 달러도 되지 않았지만, 문제는 대차대조표상의
자금조달 방식이라고 합니다. 이 때는 수출 호황기이고 원화 환율도 꾸준히 오르고 있어서 한국 금융업의
상당 부분을 해외 투자자들이 소유했으며 한국의 은행들은 전 세계 달러 시장에서 단기로 자금을 빌려와 한국 내에서 고금리로 장기간 투자를 하였다고
합니다. 이 때의 상당한 단기 달러 대출금 때문에 환율이 폭락하였고,
유동성 위기가 왔으며 수출 불황까지 종합적인 어려움을 겪었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여러 나라의 상황을 이해하면서 금융위기가 나라마다 왜 다른 형태로 나타나고 대응방법도 다르게 나오는지를
이해하게 된 시간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