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의 역사 - 지혜란 무엇인가? 지혜로운 이는 어떤 사람인가?
트레버 커노 지음, 정연우 옮김 / 한문화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다른 차이점이라면 자신들의 경험을 후대에 물려주는 행위를 열심히 하였다는 것입니다. 문자가 없을 때는 이런 능력을 이어받을 후계자를 정하여 지혜를 물려 주었으며, 나중에 문자가 생겼을 때는 더욱 많은 지혜를 물려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선대의 지혜를 배우는 방법의 하나로 여러 종교에서 가르치는 내용이나 성인들의 지혜를 담은 서적을 기본으로 삼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혜는 다양한 형태도 존재하고 있으며 그 범위도 상당히 넓습니다. 지혜의 역사를 다룬 이 책에서도 가능한 넓은 범위에서 다양한 대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저자의 관심분야와 지식의 한계 때문에 설명보다는 묘사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루고 있다고 합니다.

 

저자는 지혜가 기본적으로 사람에 관한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책의 내용에도 많은 사람들이 등장시켰다고 합니다. 그래서 인물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 장이 있고, 지혜를 대하는 태도를 중점적으로 다룬 장도 있고, 어떤 것들은 두 가지 모두를 논의하는 장이 있다고 합니다.

 

책은 전체 9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대 시대부터 언급되어 온 신과 관련된 지혜에 대한 내용부터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고대 이집트, 고대 그리스, 북유럽 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아메리카, 아프리카 및 인도 등 전세계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내려오는 지혜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지혜들이 전해오는 방식은 역사, 문학, 점술, 철학, 마법, 속담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책에서도 각각에 대해 주제로 삼고 깊이 있게 지혜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개인적으로 마법과 관련된 내용이 흥미로웠습니다. 마법이나 신비주의에는 사기꾼이나 거짓 예언자들이 쉽게 발을 들일 수 없을 만큼 명성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진짜임을 증명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마법을 쓰는 목적에 따란 흑마법과 백마법으로 구분을 하였으며 지혜는 주로 백마법고 연관성이 높다고 합니다. 이러한 마법은 약 6천년전의 고대 이집트 부적들에서도 찾을 수 있을 만큼 오래 되었다고 합니다. 오히려 과학이 덜 발달한 과거 일수록 특별한 기술을 가지고 있는 마법이 지혜로서 더 인정을 받을 수 있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우리가 흔히 지혜를 배우기 위해서는 고전이나 철학책을 읽는 다는 생각만 하였는데, 과거와 관련된 열러가지에서 지혜를 배우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금도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위해 살아가는 인간에게 지혜의 역사는 가장 큰 유산이라고 생각되는 시간이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