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공부법 - 40대만의 암기법은 따로 있다
우스이 고스케 지음, 양금현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나라에서 중년의 나이면 부모님을 모시고 자식을 키우면서 사회에서 한 참 일할 나이입니다. 너무나 바빠서 일할 시간도 부족할 것이라 생각하지만, 최근에는 분위기가 바뀌고 있습니다. 100세 시대라는 말을 들어 보았을 것입니다. 긴 노년기가 예상되는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에 중년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위치에서 더 확실한 역할을 하기 위한 공부를 하는 사람, 앞으로 퇴사 뒤를 미리 준비하기 위해 공부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나이만큼 젊은 시절의 두뇌처럼 공부가 잘 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 책은 중년의 나이에 도움이 되는 암기력과 집중력을 키울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이 책의 저자가 중고등학교 시절에 학업 성적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공부를 위해 스스로 창안한 암기법으로 명문대에 입학하였으며, 대학 재학중에는 법무사 시험에 합격을 하고, 졸업 후에는 짧은 기간의 공부시간에도 공인회계사 시험에 합격한 경험이 있습니다. 저자의 비결은 학생 때의 공부 방법인 이해하고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지 못해도 어찌 됐든 외우는 것이 우선인 공부법이라고 합니다. 저자는 40대에 필요한 공부법과 암기법을 총 6장에 걸쳐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공부할 시간이 없다는 사람에게 더 최적화되었다고 하니, 현실적으로 가장 적합한 공부법일 것입니다.

 

먼저 암기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정보는 자세한 것 보다는 압축된 것, 시간이 부족한 것에 대해 시간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는 것 보다는 초고속 암기법을 이용하는 것, 많은 일과 역할 및 정보 때문에 공부에 집중할 수 없다면 그 방해 요소를 멀리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 이 세 가지의 암기에 대한 내용을 알고 보완 방법을 찾으라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도 집중법은 나름 일하는 환경에서 터득한 노하우가 있었지만, 가장 힘들게 느껴지는 것이 암기법이었습니다. 책에서 언급한, 키워드 암기법, 순서도 암기법, 3점 암기법, 데드라인 암기법, 자투리 시간 활용방법 모두가 도움이 되는 내용이지만 한꺼번에 모두 한다는 것은 거의 수험생 수준이라 생각되었습니다. 따라서, 저에게 가장 적합한 것이 데드라인 암기법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아무래도 머리를 쓰는 것을 계속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시간적 제약을 가하여 목표 도달 시간을 최대한 짧게 하는 방법이 가장 가능성이 있다고 느꼈습니다. 여기에는 저자가 언급한 그 기한까지 목표달성을 못하면 그만 둘 시점도 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생각되었습니다. 이 방법이 초반에 시간적 여유가 있어서 방심할 경우를 방지하는 추가적인 장치라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자의 방법이 모든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지만, 책 속의 내용들을 통해 중년의 나이에 공부를 하기 위해서는 어디에 중점을 두고 해야 효과적 일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이 방법으로 조만간 목표를 세워 도전해 볼 생각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