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떠보니 50 - 절대 오지 않을 것 같지만
김혜민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의 삶을 열심히 살아오면서 이 시대의 중심에 들어가기도 하고, 중심에 서 있기도 했던 저자가 30대 후반으로서 50대 되었을 때 인생을 돌아볼 수 있는 이야기를 담은 책을 썼습니다. 극동방송의 아나운서와 PD 그리고 현재 YTN 라디오를 제작 진행하고 있으며,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대부분은 YTN 라디오 프로그램 ‘당신의 전성기, 오늘’에서 만난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저자는 50대 시기를 이미 겪은 수 많은 인생 선배들의 이야기를 저자 자신은 물론이고 비슷한 고민을 하는 3040세대 들과 함께 나누는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야기의 주제는 한정되지 않고 인터뷰에 실린 분들의 각자 다른 환경에서 살고 경험하였던 모든 것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책에는 다섯 개의 큰 이야기로 구분하였습니다. 지금, , , 시작, 우리라는 다섯 이야기를 차례로 만날 수 있습니다. 이들 이야기 중에 이전 세대와 다르게 느낄 수 있었던 것은 50대가 다시 시작하기 좋은 나이라고 하는 부분이었습니다. 100세 시대가 예상되기 때문에 그 어떤 세대도 고민해 보지 못했던 50대 이후의 인생이기 때문에, 이 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무경험의 두려움 속에 현실을 맞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전에는 직장인으로서는 큰 책임을 지고 있는 업무를 맡고 있으며 바쁜 생활을 하는 동시에 은퇴 이후의 여유로운 노년을 생각하였지만, 지금은 은퇴 이후의 20~30년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미리 연습을 해야 한다는 말에 공감이 갔습니다. 2의 인생이라는 말이 자주 들리듯이 인생을 어떻게 보낼 지는 자신의 기준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직장을 그만두고 50대 사업을 시작했다 실패한 후, 가계 경제를 위해 고생한 것, 그리고 58세에 공무원이 된 사례처럼 자신 뿐만 아니라 아버지로서 자녀에게 물려줄 가치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른 이야기들도 전문 작가들의 글이 아닌 인생 선배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라서 그런지 마음속에서 공감이 되고 읽는 내내 도움이 되는 느낌이었습니다.

 

삶아온 길은 다르지만, 남의 눈치를 보지 말고, 사회가 정한 행복의 기준에 맞추지 말고 마음 시키는 대로 살라는 공통된 말을 하는 이유를 조금은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가족의 테두리에서 벋어나 넓은 시야를 가지는 것도 언급합니다. 나도 이번 연말을 맞이하여 저자의 말처럼 5060을 신중년이라 생각하고 새로운 시기를 잘 준비해 볼 계획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