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이 인간을 죽이는 날 -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자동차, 의료, 무기의 치명적 진화
고바야시 마사카즈 지음, 한진아 옮김 / 새로운제안 / 2018년 9월
평점 :
절판


알파고의 등장 이후에 인공지능이나 딥러닝과 같이 로봇이 스스로 학습하여 인간의 능력을 넘어 서는 것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전까지는 영화속의 이야기이며, 로봇은 인간이 지시한 것에 대해서만 작동하는 하나의 기계라고 생각한 사람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인공지능의 발전은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이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직종에서 개발되거나 이미 활용되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IT 기업들이 미래의 사활을 걸고 AI 개발에 투자하고 경쟁하고 있는 것도 익히 알고 있습니다. 지능형 비서나 무인 자동차 등이 이미 상용화 단계 직전까지 개발 되었으며, 인간의 도덕적인 문제와 결부되어 여러 가지 고민거리도 함께 만들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인공지능의 발달에 따라 미래에 대한 불안이나 걱정을 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책에는 총5장에 걸쳐 인공지능의 위협에 대한 내용을 시작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 닥터, 군사용 무기, 자동화의 문제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산업 혁명으로 탄생한 기계들은 단순 반복작업에서 인간보다 월등한 속도와 품질을 만들어냈습니다. 완벽한 인간의 통제 아래에서 삶의 질을 높여 주는 1등 공신이었습니다. 하지만, 미래의 기계는 인간의 필요에 의해서 만들었지만, 100% 인간의 통제 아래 있지 않고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에서 얻은 결과에 따라 통제가 될 것입니다. 미처 예상하기 못한 환경에서 인공지능이 내릴 판단에 대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을 가진 기계의 판단이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책임문제도 있습니다. 그리고, 각 나라의 법규나 다양한 센서나 장치들의 조화, 베이즈 정리과 같은 통계확률형 AI 이론의 정확성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습니다.

 

이미 IBM이 개발한 왓슨이라는 의료용 인공지능을 보조로 의사의 판단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암 치료 방법의 99%가 암 전문의의 판단과 일치하였으며, 의사가 놓친 치료법도 왓슨이 발견한 경우가 30%에 달한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이 정도의 단계에서 조금 발전만 하고 더 이상 인간의 최종 판단에 관여 하지 않았으면 하는 생각도 듭니다. 오히려, 치료의 목적보다는 건강검진과 같은 예방을 목적에 두고 더 많이 개발 되었으면 합니다.

 

책의 뒷 부분에 있는 군사 무기와 같은 분야는 각 국의 경제적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비밀리에 더 많은 발전이 이미 이루어졌으리라 생각합니다. 무기에 대해서는 각 국이 협력하여 인간을 위협하는 것이 아닌, 인간의 안전이나 우주개발과 같은 방향으로 힘을 모았으면 좋겠다고 느꼈습니다. 물리학을 전공하였던 과학저널리스트인 저자가 일반인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어서 큰 어려움 없이 읽을 수 있습니다. 많이 들어 보았지만 자세히 몰랐던 첨단 인공지능 관련 용어나 기술에 대해서 상식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좋은 시간을 이 책에서 얻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