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이 필요한 순간 - 인간은 얼마나 깊게 생각할 수 있는가
김민형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서두에 참 재미있는 말이 있습니다. ‘수학자 중에서 수학에 대해 생각하기 좋아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라는 글입니다. 저자는 수학을 하는 것과 수학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은 다르다고 합니다. 이를 예술가와 비평가의 차이, 과학자와 과학철학자의 차이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자신의 의도와 상관없이 수학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을 더 즐겼던 것 같다고 말합니다. 저자는 이러한 수학자로서의 삶에 대해 무척 겸손하게 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저자가 수학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관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은 저자가 옥스퍼드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제직하면서 지난 1여녀 간 진행한 강의를 토대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저자의 강의는 공부가 아닌 수학의 매력을 만나는 시간이었기에 이 책을 통해서도 학문으로서의 수학이 아니라 수학적 사고를 경험하며 그 자체를 탐구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 기대됩니다.

 

책은 총 6개의 강의와 특강이 담겨 있습니다. 책에 있는 문체들도 저자가 마치 강의하는 듯하게 쓰여져 있어서, 강의실에서 저자를 만나고 있다는 느낌도 들었습니다.

 

저자를 세계적 수학자에 오르게 한 페르마의 원리에 대해서, 빛의 굴절에 대한 상당히 재미있는 원리로 설명하는 과정이 너무 신기했습니다. 집에 있는 페르만의 정리라는 책을 아직도 읽지 못하고 있었는데, 저자의 짧은 강의를 통해 거시적인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빛은 최단 경로로 가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최소화하는 경로로 간다는 정의에 대해서도 나는 왜 이런 기본적인 생각을 몰랐을까라는 창피함도 느꼈습니다. 또한, 빛은 분명 존재하고 눈으로 볼 수 있으며, 입자로 이루어져있어서 공기, 물과 부딪치고 있지만 왜 만지지 못하는 것인지에 대한 어려운 이야기도 재미있게 만날 수 있었습니다.

 

저자는 책 제목처럼 수학이 필요한 순간에 대한 정의를 다음과 같이 언급합니다. ‘질문을 탐구하는 과정 자체가 새로운 길을 보여줄 때가 있다’ 라고 합니다. 수학이라는 학문이 인류의 오랜 시간 동안 질문을 반복하면서 우리의 사고 능력을 고양시켜온 학문이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아주 간단하고 누구나 알고 있는 수학의 기본을 가지고 어려운 문제나 수수께끼를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저자의 강의를 너무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아마 이런 강의를 제가 학창시절에 들었다면, 저도 수학자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오랜만에 수학을 즐겁게 만났던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