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에서 24시간 살아보기 - 2000년 전 로마인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생활 밀착형 문화사 고대 문명에서 24시간 살아보기
필립 마티작 지음, 이정민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는 반만년 역사를 자랑하고 있지만 2000년전의 한국 역사에 대해서 이야길 할 내용들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반면에 서양 역사의 핵심이 되는 로마의 이야기는 다른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접할 수 있었습니다. 역사책을 읽지 않아도 방송이나 영화를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고대 로마에 대한 모습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책 속의 이야기를 통해 로마의 일상과 지배자의 눈이 아닌 일반 로마시민의 눈으로 로마 자체를 만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로마 시대에 대한 이야기는 간접적으로 조각 조각 접하였고, 전체적인 로마 시대에 대해서 크게 아는 바가 없었습니다. 이 책은 로마 전성기의 실제 모습을 고증하여 그들의 일상 생활을 살펴 봄으로서 로마 시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고 흥미를 이끌 수 있는 내용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14대 황제인 하드리아누스 시절의 어느 하루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스물네 명의 눈을 통해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책의 서두 앞에 있는 로마 제국 최대 영토 그림은 처음 보았습니다. 영국의 북부, 북유럽, 동유럽이 포함되지 않고 아프리카에서도 북쪽의 해안지역만 포함되었다는 것이 생각보다 작아서 의외였습니다. 하지만, 지중해 지역 전체를 장악하였다는 것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의 시각으로 보면 노예제도가 강력히 존재하는 불평등한 사회였고 비위생적인 생활과 질병으로 인한 사망이 많았으며, 강력한 국가는 있지만 복지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는 로마가 다른 지역보다는 살기 좋은 곳이었고, 다양한 부족함이나 불편을 느끼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스물네 가지 이야기 속에는 시대의 모습을 담은 유물들의 사진이나 기록 및 자료 등도 함께 소개하고 있어서 당시 사람들의 가치관을 간접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오줌을 이용하여 암모니아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빨래를 하는 지혜는 있지만, 지독한 냄새를 참고 함께 살아가는 모습, 황제부터 일반 시민들까지 목욕문화가 상당히 발달하였고 즐겼던 모습, 그 당시에도 존재하였던 후견인 제도, 유대인 뿐만 아니라 로마인들도 돼지가 지저분하다는 이유로 돼지고기를 먹지 않았다는 것 등등 이미 알고 있었던 것은 좀 더 깊은 내용을 배울 수 있었고 몰랐던 내용은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지금 우리가 접하는 고대 로마 시대의 모습은 위대한 건축물 밖에 없지만, 이 책을 통해 당시의 삶을 이해하고 생각하면서 그들의 유산을 다시 한 번 보니, 새로운 느낌이 들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