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 국가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50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플라톤 국가

플라톤의 국가는 교과서에도 많이 나오는 워낙 유명한 책임에도, 제대로 완독해 본 사람은 많지 않은 책인 것 같다.

나름 독서를 좋아한다고 하는 나도 플라톤 국가를 수능지문등으로만 부분부분 접해고, 중심내용만 외웠지 무엇을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는 시간을 내서 읽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정수는 소크라테스가 문답을 어떻게 풀어나가는지 보여준다는 것이다.

질문에 대한 상대의 대답, 그리고 그에 대한 추가 질문, 반복적인 꼬리를 무는 질문을 통해 대답하는 사람의 논리가 사상누각과 같이 무너지는 것을 지켜보면 지혜와 통찰이 대단하다는 생각과 함께 상대입장에서는 꽤나 기분이 좋지 않을만한 상황이라는 생각도 든다.

시간이 많아서 이런 토론을 하고 있는 것인가?

내가 저 토론장에 있다면 나는 토론에 참여하고 있을 것인가? 아니면 시간낭비라고 생각하고 내 할일을 할 것인가?

독서중 이런 저런 생각이 드는 이유는 아마도

이해는 가지만, 탁상공론 같고, 무슨의미를 찾기 어렵다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실생활, 현실적인 현대사회를 살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표면적인 현상의 내면에 내재되어 있는 궁극적인 해답은 결국 이러한 철학에 있는 것이다.

이책이 쉽게 진도가 나가지 않았던 것은 나는 아직은 고차원적이고 궁극적인 사고에 대해서 약점이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의미 있는 독서였다고 생각한다. 실용서 위주로 읽던 나에게 다른 차원의 사고의 틀을 열어주었기 때문이다.

덧붙임

  1. 소크라테스 문답을 책을 통해 천천히 읽어보니, 그가 따르는 사람도 많았지만 왜 적이 많았고 최종적으로 독배를 마셨는지 살짝 이해가 된다.

  2. 계속된 말꼬리를 잡는 질문이 토론을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고서는 상당히 성가시고 유쾌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3. 유대인들의 토론문화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이 든다. 결국 방향성/근본지식등 코어가 되는 사상은 철학에 있다.

본문의 내용을 일부 인용하면,

케팔로스님이 대답하셨네 "내가 말해도 대부분의 사람은 믿지 않을 거요, 소크라테스 선행, 선생도 잘 알아두셔야 합니다. 무슨말이냐 하면 사람은 죽을 때가 가까워졌다는 생각이 들면 전에 없던 두려움과 염려에 휩싸인다는 것이지요. 저승에 관한 이야기들, 예컨대 이승에서 나쁜 짓 한 사람은 저승에 가서 벌 받는다는 이야기를 전에 들었을 때는 웃어넘겼지만, 이제는 그런 이야기가 진짜일지 모른다는 생각에 마음이 괴로워진답니다. 노년이 되어 쇠야해져서인지, 벌써 저승과 가까워져 저승을 좀 더 분명히 볼 수 있어서인지, 불길함과 두려움에 사로잡힌 채 전에 다른 사람에게 나쁜 짓을 한 적은 없는 지 곰곰이 따져보게 되지요"

훌륭한 사람들이 통치를 거절한 경우, 받게 될 가장 큰 벌은 자기보다 못한 사람들에게 통치를 받는 것이네, 내가 보기에는 통치를 맡기에 가장 적합산 사람들이 결국 통치를 하게 되는 이유는, 바로 그런 벌을 두려워하기 때문인 것 같네. 그런 경우에도 그들은 좋아라하며 통치를 맡지는 않네. 그 일을 맡을 더 훌륭한 사람이나 대등한 사람이 없어 어쩔수 없이 맡는 것이다. 오늘날에는 서로 자기가 통치하겠다고 싸우지만 훌륭한 사람들로 이루어진 국가가 생긴다면, 거기에서는 서로 통치하지 않으려고 싸우게 될 걸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